10월엔 금리인하?…한은 결단만 남아
입력
수정
지면A6
물가 하락에 '0.25%P 인하' 임박지난달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정부 물가관리 목표치(2.0%)를 밑도는 1.6%까지 하락하면서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하가 임박했다는 분석이 나온다. 다만 치솟은 수도권 집값과 가계부채 문제가 변수로 작용할 전망이다.
수도권 집값·가계대출이 변수
한은 금융통화위원회는 오는 11일 통화정책방향 회의를 열고 기준금리를 결정한다. 한은은 지난해 1월부터 올 8월까지 13회 연속 기준금리를 연 3.5%로 동결했다. 시장에선 한은이 기준금리를 연 3.5%에서 연 3.25%로 0.25%포인트 낮춰 피벗(통화정책 전환)에 나설 것이라는 관측이 우세하다. 기준금리 인하는 2020년 5월(연 0.75%→0.5%) 후 4년5개월 만이다. 2021년 8월 0.25%포인트 인상과 함께 시작된 통화긴축 기조가 3년2개월 만에 마무리되는 것이다.통화정책의 최우선 목표인 물가는 안정세에 접어들었다는 평가다. 지난달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전년 동월 대비 1.6%까지 하락했다. 코로나19 팬데믹 시기인 2021년 2월 1.4%를 기록한 후 3년7개월 만에 가장 낮은 수준이다. 물가 상승률이 1%대로 하락한 것은 2021년 3월(1.9%) 후 3년6개월 만이다. 이창용 한은 총재도 “물가만 보면 금리 인하를 고려할 수 있는 충분한 시기”라고 밝혔다.
좀처럼 회복되지 않는 민간 소비와 건설·투자도 금리 인하를 압박하는 요인이다. 정치권 일각에선 한은이 기준금리를 진작에 낮췄어야 했다는 실기론까지 제기되고 있다. 미국 중앙은행(Fed)이 지난달 기준금리를 0.5%포인트 인하하는 ‘빅컷’에 나서면서 한은이 기준금리를 인하할 여지도 생겼다. Fed가 지난달 18일 금리를 종전 연 5.25~5.5%에서 연 4.75~5.0%로 낮추면서 한·미 금리 차는 역대 최고치였던 2%포인트(한국 3.5%·미국 5.5%, 상단 기준)에서 1.5%포인트로 축소됐다.
기준금리 인하가 수도권 집값과 가계대출을 자극할 수 있다는 점은 변수다. 지난 8월 금통위에서도 상당수 금통위원은 부동산 시장 불안 문제를 지적했다. 기준금리 인하가 가계대출과 수도권 집값 상승을 촉발할 수 있기 때문에 피벗을 11월 이후로 미뤄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강진규 기자 josep@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