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일 벗은 국산 차륜형자주포…"獨은 우크라 주는데 韓 2030년 생산?" [김동현의 K웨폰]
입력
수정
한화, 예상 개발 비용 414억
"우크라 전쟁서 궤도형보다
차륜형이 기동성.생존성 높아"
정부사업 선정땐 2030년 상용화
경쟁사보다 스펙 뒤처질라 우려
한화, '차륜형' 2027년 체계개발 완료
지난 2~5일 충남 계룡시에서 '대한민국 국제방위산업 전시회(KADEX) 2024'가 열렸다. 여기서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무인 포탑을 탑재한 155㎜ 차륜형 자주포 모형을 공개했다. 모형은 K9A2 자주포에 적용되는 무인 포탑과 차체 플랫폼을 결합한 형태다. 공개된 목표 성능을 보면, 포탑 크기(포신 제외)는 4.2m(길이)×2.9m(폭)×2.0m(높이)이고, 주 무장으로 155㎜ 52구경장(포신 길이/포 구경) 포신을 사용한다. 현재 K9A3용으로 개발 중인 58구경장도 탑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분당 8발을 쏠 수 있다. 전투중량은 38t 이하, 승무원 두 명, 사거리는 40㎞(표준탄 기준)로 계획됐다.한국경제신문이 입수한 한화의 '차륜형 자주포 개발안'을 보면, 이번 차륜형 자주포 사업의 예상 개발 비용은 414억원이다. 국방기술진흥연구소 주관의 '무기체계 개조개발 지원 사업'을 통해 기업 부담을 50% 가량 낮출 계획이다. 올해 이 사업에 선정될 경우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내년 1월부터 2027년 6월까지 모두 30개월간 체계 개발에 나선다. 1단계로 K9A2 자동화 장치를 활용한 '무인 포탑'을 만들고, 2단계로 천무 등 차체를 개보해 무인 포탑용 플랫폼을 개발할 계획이다.
2030년대 상용화…"향후 장갑 등 스펙 더 높여야"
한화는 차륜형 자주포를 개발한 뒤 미주·중동·유럽시장 수출까지 연결시키겠다는 목표다. 수출 시장에서 새 자주포의 경쟁자로는 영국에서 선정된 KNDS사의 RCH-155, 라인메탈이 개발 중인 HX-3(시그마 155) 차륜형 자주포 등이 꼽힌다.두 모델은 현재 독일 육군의 '미래 중거리 간접사격체계' 사업의 후보로 올라와 있다. RCH-155는 독일의 복서 장갑차에 KNDS가 개발한 무인 포탑을 얹은 형태로, 이미 상용화돼 쓰이고 있는 점이 강점으로 꼽힌다. 포탑은 K9의 강력한 경쟁제품인 'Pzh-2000' 자주포 포탑을 무인화한 것이어서 강력한 화력을 갖고 있다.
일각에선 차세대 자주포의 진짜 문제는 '개발 시기'에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KADEX에서 만난 한화 관계자는 "2030년 대 상용화를 목표로 개발 중"이라고 밝혔다. 김민석 한국국방안보포럼연구위원은 "RCH-155 뿐 아니라 세계 각국에서 차륜형 자주포 개발이 이미 실용화 단계에 있어 한국이 한발 늦은 편"이라며 "차기 차륜형 장갑차에는 한화의 '타이곤' 장갑차를 활용한 방어력 강화, 유무인 복합체계 등을 추가해야 수출 경쟁력이 생길 것"이라고 예상했다.
김동현 기자 3cod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