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시대, 지금이 세계대학 넘어설 골든타임"

인터뷰 - 유혁 고려대 연구부총장

아직 AI로 수익 내는 분야 없어
비즈니스 모델 찾아야 기회 잡아

문제풀이식 아닌 새 교수법 고민
학생 질문 받을 AI조교 개발 중
산학협력해 '한국형 SLM'도 연구
유혁 고려대 연구부총장은 13일 한국경제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인공지능(AI)으로 판이 흔들리고 있는 지금이 한국 대학이 세계적 대학을 넘어설 수 있는 기회”라고 말했다. 임대철 기자
“인공지능(AI)으로 판이 흔들리고 있는 지금이 한국 대학이 세계적 대학을 넘어설 수 있는 기회입니다.”

유혁 고려대 연구부총장이 13일 한국경제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어느 누구도 확실한 비즈니스 모델을 확보하지 못한 만큼 어떤 AI를 개발하고 활용하는지에 따라 기회를 잡을 수 있을 것”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유 부총장은 컴퓨터공학과 교수로 ‘프로그래밍이 가능한 네트워크 가상화’를 개발해 세계적 원천 기술을 획득한 과학자다.

○AI, 위기가 아니라 기회

유 부총장은 AI에 두려움을 갖기보다 기회를 모색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했다. AI 투자는 많이 이뤄졌고 기술도 빠르게 발전했는데, 돈을 벌 수 있는 분야는 아직 나오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는 “이를 찾아내는 곳이 큰 기회를 잡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유 부총장은 특히 의료 분야가 가능성이 높다고 봤다. AI가 많은 데이터와 선택 사항 등을 주면 진단 등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는 주장이다. 그는 “의사를 대체하는 것이 아니라 보조하고, 의사가 부족한 지역에 원격의료 등을 도입하는 식”이라며 “정부 차원에서 제도적 뒷받침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AI 시대에 교육 분야 혁신도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과거처럼 문제 풀이를 해오라는 식의 숙제를 내서는 소용없다는 것을 인정하고, 새로운 교수법을 찾아야 새로운 시대에 인재를 키울 수 있다는 지적이다. 유 부총장은 “공학 계산기가 처음 나왔을 때 루트를 계산하지 말라던 교수님도 있었지만 소용없는 시도였다”며 “챗GPT를 쓰면서도 학생들이 기본적인 개념을 알고 연습하게 하는 방법을 찾아야 한다”고 말했다.

고려대는 이미 AI 활용 방식을 고민 중이다. 일단 이번 학기에는 학생의 질문을 받을 수 있는 AI 조교를 개발하고 있다. 대규모언어모델(LLM)을 통해 강의 내용을 충분히 가르쳐서 질문에 답해주는 식이다. 내년에 도입하는 것이 목표다. 유 부총장은 “질문에 대답해줄 만한 실력이 있는 조교를 확보하기 어렵고 비용도 만만치 않은데 AI 조교는 좋은 대안이 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기업 투자 없이 연구 어려워”

AI 연구에는 기업과 대학 간 협력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기업은 연구자를 확보하고 학교는 투자 비용을 아끼며 양질의 데이터에 접근할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AI 연구를 위해서는 엄청난 양의 그래픽처리장치(GPU)가 필요한데, 개별 대학이 투자하기에는 비용이 부담이다. 유 부총장은 “학교에서 시행하는 연구과제 대부분은 5억원 이하인데, GPU는 최소 100억~200억원은 투자해야 의미 있는 연구가 가능하다”며 “기업의 투자 없이는 어렵다”고 말했다.

고려대는 산학협력을 위해 KT와 AI공동연구개발센터를 설립했다. 유 부총장이 센터장을 맡았다. 총 15개 분야 공동 과제 가운데 중점을 두는 것은 특정 산업 영역에 효과적인 LLM인 ‘한국형 버티컬 소규모언어모델(SLM)’을 개발하는 일이다. 유 부총장은 “기존 빅테크가 만든 AI가 한국 정서에 맞지 않는 대답을 하는 사례가 많은데 한국 역사, 문화, 언어 등을 학습시켜 이를 방지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그는 AI 부작용을 막기 위한 방안도 필요하다고 했다. 특히 AI의 투명성을 높이기 위한 노력을 중요하게 봤다.유 부총장은 “음식을 먹을 때 어떤 재료를 썼는지가 중요한 것과 마찬가지”라며 “어떤 데이터를 썼는지에 따라 다양한 편견이 AI에 반영될 수 있는 만큼 세계적 합의를 거쳐 학습 데이터를 공개하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강영연 기자 yyka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