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성형 다음은 '행동형 AI'…"새 비즈니스 모델 만들어야"

KPAS 2024
각계 전문가들 제언

장병탁 서울대 AI연구원장
"촉각·후각 느끼는 AI 나올 것"
17일 ‘코리아 프라미싱 AI 스타트업’ 참가자들이 장병탁 서울대 AI연구원장의 강연을 듣고 있다. /최혁 기자
“인공지능(AI)의 효용성은 더 이상 의심할 필요가 없습니다. 지금 중요한 건 비즈니스 모델을 만드는 겁니다.”(유혁 고려대 연구부총장)

“생성형 AI 시장은 복잡하고 입체적입니다. 한국 스타트업도 기회를 충분히 엿볼 수 있습니다.”(박성현 리벨리온 대표)17일 ‘코리아 프라미싱 AI 스타트업 2024(KPAS 2024)’에 참석한 AI 전문가들은 다양한 목소리를 쏟아냈다. 장병탁 서울대 AI연구원장은 기조 강연에서 “판단형, 생성형 AI를 넘어 다음엔 행동형 AI에서 새로운 혁신이 일어날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는 “텍스트, 이미지 데이터뿐만 아니라 촉각, 후각, 미각 데이터까지 AI가 학습한다면 산업 전체에 엄청난 변화가 일어날 것”이라고 했다.

AI 사업화 방향에 대한 논의도 뜨거웠다. 유혁 부총장은 “규모 중심의 대규모언어모델(LLM)은 추론 비용이 많이 든다”며 “각 분야에 특화된 버티컬 AI 솔루션의 필요성이 강조되는 추세”라고 했다. 이어 “스타트업은 의료, 금융, 미디어 등 버티컬 영역에서 고유한 비즈니스 모델을 찾아내야 한다”고 말했다.

AI 반도체 스타트업 리벨리온의 박성현 대표는 생성 AI 시장이 워낙 다층적이어서 한국 스타트업도 기회를 잡을 수 있다고 했다. 박 대표는 “AI 모델마다 필요한 시스템이 다르기 때문에 다양한 시장에서 여러 승자가 나올 수 있다”며 “특정 도메인에선 스타트업이 빅테크보다 경쟁력을 갖출 수 있다고 본다”고 말했다.임정욱 중소벤처기업부 창업벤처혁신실장은 한국의 AI 역량과 관련해 “기술 개발 능력은 우수하지만 사업화와 인재 확보는 상대적으로 취약한 편”이라고 진단했다. 그는 “정부가 대기업 AI 수요와 스타트업을 연결하고, 글로벌 진출 기회도 만들어 지원하겠다”고 했다.

정병주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 인공지능융합본부장은 “기술 개발도 중요하지만, 지금은 AI 활용에 더 주목해야 할 때”라며 “공공부문에 적용되는 AI 기술도 다양해지고 있다”고 말했다.

강수량 예측 및 산불 탐지 AI, 민원 어시스턴트가 공공 AI의 대표적인 사례다.

고은이/황동진 기자 kok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