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석철의 딜 막전막후] IPO 발목 잡는 투자유치 옵션
입력
수정
지면A33
최석철 증권부 기자▶마켓인사이트 10월 22일 오후 5시 18분
케이뱅크가 두 번째 기업공개(IPO) 도전에서도 고배를 마셨다. IPO 과정에서 몸값을 제대로 평가받지 못했다는 게 상장 철회 이유다. 그 내막을 들여다보면 복잡하다.
케이뱅크는 2017년 설립 이후 수차례 유상증자를 통해 외부 자금을 유치했다. 흑자 전환에 성공한 2021년에는 7250억원을 조달했다. MBK파트너스, 베인캐피탈, MG새마을금고 등이 재무적 투자자(FI)로 참여했다.
케이뱅크 최대주주인 비씨카드는 매도청구권(콜옵션)을 약속하면서 동반매각청구권(드래그얼롱)을 보장해줬다. 5년 동안 IPO가 불발되면 투자금에 약속한 일정 수익률을 지급하기로 했다. 당시 케이뱅크 기업가치는 투자 후 기준으로 2조5000억원으로 평가받았다. 케이뱅크 적정 기업가치의 잣대는 현재가 아니라 과거에 묶여 있다.
4조원대 원했지만 참패
이번 공모 과정에서 케이뱅크는 상장 기업가치를 4조~5조원으로 제시했다. 주가순자산비율(PBR) 2.56배를 적용했다. 카카오뱅크 PBR은 1.62배로 케이뱅크가 약 50% 비쌌다.시장에선 1조원에 육박하는 공모 물량이 시장에서 충분히 소화될지도 고민거리였다. 이번 케이뱅크 공모금액은 7790억~9840억원으로 2022년 1월 LG에너지솔루션 이후 최대 규모였다. 비교기업 시가총액을 감안해 10~20% 할인해야 한다는 의견이 있었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았다.기존 투자자는 공모가를 양보하지 않으려고 했다. 3조원대 후반에서 4조원대 초반의 기업가치가 투자자들이 원하는 마지노선인 것으로 알려졌다. 또 다른 투자자는 가격을 소폭 낮추더라도 공모 과정에서 구주 매출로 충분한 물량을 매각하기를 원했다.
케이뱅크는 투자자 눈높이에 맞춰 공모에 나섰지만 기관투자가 수요예측에서 흥행에 실패했다. 공모가가 희망가격 하단보다 10%가량 낮은 수준에서도 상장을 위한 충분한 자금이 모이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3조7000억원 수준의 기업가치를 인정한 기관투자가조차 소수에 불과한 것으로 전해졌다.
IPO 실패 '청구서' 부담 가중
케이뱅크는 한때 7조원 이상의 기업가치를 기대할 만큼 자신감이 있었다. 이번 IPO 과정에서 최소 3조원대 후반 이상의 기업가치를 무난히 인정받을 것으로 예상했다. 하지만 자본시장의 유동성 잔치가 끝나면서 분위기가 확 바뀌었다는 것을 뒤늦게 깨달았다.비씨카드가 약속한 케이뱅크 상장 기한은 2026년 7월까지다. 그때까지 IPO가 이뤄지지 않거나 일정 수준의 수익률을 보장하지 못하면 비씨카드가 FI 지분을 매입하거나 제3자에게 케이뱅크 지분을 함께 팔아야 한다. 자기자본 1조7000억원인 비씨카드가 약 7250억원의 리스크를 안고 있는 셈이다.IPO가 늦춰지면 예상치 못한 상황이 벌어질 수 있다. SK그룹이 11번가에 대한 콜옵션을 포기했듯이 극단적인 일이 벌어지지 않을 것이란 보장이 없다는 게 업계 예상이다. KT그룹 입장을 고려해 드래그얼롱 조항을 선택한 FI로서도 보장수익률만 믿고 베팅할 수 없다는 얘기다. 상황에 따라 현금 여력이 넉넉지 않은 비씨카드가 콜옵션을 포기할 수도 있다는 얘기다.
케이뱅크는 상장 철회를 결정한 직후 곧장 내년 초 세 번째 도전에 나서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IPO 삼수도 순탄치 않을 것이라는 우려가 벌써 나온다.
“이제 시장 평가를 눈으로 확인했으니 어떻게든 눈높이를 맞춰서 진행해야 하지 않겠어요?” 케이뱅크가 상장을 철회한 뒤 한 자산운용업계 관계자는 이렇게 말했다. 회사와 투자자 모두 시장의 평가를 체감한 만큼 기업가치를 과거가 아니라 현재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는 게 전문가들 얘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