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숫자로 읽는 교육·경제] '연 7% 이상' 초고속 성장…젊은 인도, 아직 배고프다
입력
수정
지면S3
생각하기와 글쓰기‘넥스트 차이나’로 주목받아온 인도가 이제는 ‘비욘드 차이나’를 향해 가고 있다. 세계 최대 규모 생산가능인구와 정보기술(IT) 분야 등의 인재를 앞세워 중국을 대체하는 글로벌 생산 기지와 백오피스로 급부상했다. 2027년 미국과 중국에 이어 3대 경제 대국에 오르고, 이후 중국까지 추월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질주하는 인도 경제의 힘
블룸버그 "2037년 중국 추월"
![](https://img.hankyung.com/photo/202410/AA.38426557.1.jpg)
이를 뒷받침하는 것은 젊은 인구다. 유엔 집계 결과 인도는 지난해 중국을 넘어 세계에서 가장 인구가 많은 나라(약 14억4000만 명)가 됐다. 특히 인도는 중위연령(인구 분포상 한가운데 연령)이 28세이고, 인구의 42.7%가 25세 미만인 ‘젊은 국가’다. 이들이 제공하는 풍부한 노동력과 소비력이 정부의 제조·서비스업 육성 정책과 맞물리며 인도는 가파른 경제성장을 거듭해왔다. 여기에 정부의 제조업 육성 전략이 더해져 생산 기지로서의 매력이 커졌다. 글로벌 반도체 기업 마이크론, NXP, TSMC 등은 인도에 대규모 파운드리(반도체 수탁생산) 공장을 짓고 있다. 미·중 갈등에 따른 글로벌 기업의 탈(脫)중국 현상도 인도에 호재다.
21세기가 ‘인도의 세기’가 될 수 있다는 기대가 인도 안팎에서 흘러나오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블룸버그 통신은 “중국과 미국, 유럽 등 주요 국가 간 무역 긴장이 고조되면서 인도가 기회를 잡았다”고 평가했다. 물론 한계점은 있다.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 부족, 큰 빈부 격차, 주마다 다른 복잡한 행정절차 등은 인도 투자의 한계 요인으로 꼽힌다.미국 재무장관과 하버드대 총장을 지낸 래리 서머스 교수는 ‘타임스오브인디아’ 인터뷰에서 “지난 70년간 인도 세계화 과정의 가장 큰 장애물은 인도 정부가 세운 (복잡한 규제, 보호무역 등의) 장벽이었다”며 “장벽을 허물면 성장할 여지가 여전히 많다”고 강조했다.
한경제 한국경제신문 기자
NIE 포인트
1. 세계 경제성장을 이끄는 엔진이 중국에서 인도로 바뀌고 있는 것 같다. 어떻게 생각하는가?2. 중국과 비교한 인도의 경쟁력이 지닌 장단점이 무엇인지 선생님, 친구들과 토론해보자.3. 한국이 인도에 대한 투자를 어떻게 늘리고 있는지 공부해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