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일 여성기자의 저출생 해법 모색 "노동환경, 성평등 인식 제고 필요"
입력
수정
한국여성기자협회, 제2회 한일여성기자포럼 개최한국과 일본의 여성기자들과 전문가들이 저출생 해법을 함께 모색하는 포럼이 열렸다.
한국여성기자협회는 25일 서울 중구 프레지던트호텔에서 ‘저출생 위기, 함께 찾는 해법’을 주제로 ‘제2회 한일여성기자포럼’을 개최했다. 이날 포럼은 △한일 저출생 실태와 현 정부 정책 시사점 △달라진 가족…다양성과 포용성 진단 △저출생과 미디어의 역할 총 3부로 진행됐다. 주형환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 부위원장, 김효재 한국언론재단 이사장, 제프 로빈슨 주한 호주대사를 비롯해 양국의 여성기자와 전문가 100여명이 참석했다.하임숙 한국여성기자협회장은 “저출생은 국가 생존을 위협하는 문제로 다양한 포럼에서 논의되고 있다”며 “직접 겪은 일과 취재로 얻은 풍부한 사례를 거둔 언론인과 전문가들이 모인 이번 포럼이 답을 찾는데 보탬이 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주형환 부위원장은 축사에서 “한국과 일본 양국 모두 초저출산, 초고령화, 초인구절벽이라는 ‘3초’의 인구위기 앞에 서 있다”며 “정책 대응뿐 아니라 육아 출산에 대한 긍정적 인식 중요하며, 미디어 역할이 크다”고 강조했다.
1부에서는 다자녀를 둔 양국 여성기자가 체험한 저출생 지원 정책에 대한 평가와 시사점을 분석했다. 이미지 동아일보 기자는 6~12세 자녀 넷을 키우고 있는 워킹맘이다. 그는 "각종 지원책이 출산부터 영유아 시기에만 집중됐고, 사교육비 부담이 지나치게 크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일본 측 발제자인 오다 마이코 닛케이 크로스우먼 편집위원은 7~19세의 자녀 셋을 키우고 있다. 그는 출산, 육아를 지원하는 일본 지방자치단체와 기업의 사례를 소개했다. 마이코 편집위원은 "도쿄의 이토추 상사는 2011년 사내 출생률이 1.0 아래였는데 2021년에는 1.97명을 기록했다"며 "사내 탁아소를 설치하고 아침 5~8시에 근무를 시작하고 일찍 퇴근, 잔업을 원칙적으로 금지하는 아침형 근무를 도입하면서 큰 효과를 거뒀다"라고 분석했다. 발제에 이어진 토론에서는 유혜정 한반도미래인구연구원 센터장, 히구치 이쿠코 요미우리신문 조사연구본부 선임연구원이 나와 양국 출산율이 빠른 속도로 추락하는 배경과 현 정책 보완점을 제시했다. 유 센터장은 "저출생 현상은 청년 세대가 자초한 문제가 아니라 청년세대에게 나타난 결과"라며 "경직된 기업문화가 개선되지 않는다면 정부의 지원 대책이 효과를 발휘하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이쿠코 연구위원 역시 "장시간 노동하는 환경이 바뀌어야 한다"며 "기업과 조직이 안에서부터 변화를 만들어내기는 어렵다. 법률, 제도의 변화로 조직의 변화를 유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2부에서는 다양한 가족 형태를 수용해 저출생 위기를 돌파해야 한다는 제언이 나왔다. 김희경 강원대 객원교수는 "가족을 구성한다는 게 위험이 아니라 행복을 향한 선택이 될 수 있도록 가족의 형태에 따른 차별을 없애고 생활 동반자 관계 등 다양한 가족을 제도적으로 수용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며 "가정 내 성 평등과 장시간 노동 개선 등 가족을 둘러싼 환경 개선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제안했다.
오누키 사토코 아사히신문 기자는 일본의 내밀출산(보호출산) 현장을 취재한 내용을 생생하게 전했다. 그는 원치 않는 임신의 책임을 여성에게만 떠넘기는 현실을 지적하며 "결혼 시 남편의 성으로 바꿔야 하는 일본에서 기혼 여성도 자신의 성을 선택하게 하는 부부별성제의 미도입, 남녀 임금 격차 등 여러 차별이 저출생의 원인"이라고 분석했다.
조수영 기자 delinew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