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 18만명 찾는 문화공간 겸 카페 '명주정원'…폐업한 시멘트공장을 상주의 핫플로
입력
수정
지면B2
상주 창업가 이민주 대표
특색있는 공간서 와인 강의·체험
함창명주 리브랜딩 사업도 추진
"태국의 짐 톰슨 같은 명품 도전"
한복진흥원·곤충박물관도 활기

버려진 시멘트 공장이었고 폐업한 찜질방으로 방치된 지 오래된 자리에 카페를 만들고 뒷마당의 넓은 정원에는 문화행사를 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했다. “학창 시절 상주에는 없었던 카페와 문화공간에 대한 갈증을 해소해주고 싶었다”는 이 대표는 “시골에서 보기 힘든 특색 있는 건축공간에서 티소믈리에와 와인 전문가의 강의를 마련하고 잔디가 깔린 넓은 마당에서 파티도 열 수 있도록 했다”고 성공 비결을 밝혔다.요즘 상주에서는 명주정원 덕분에 인근의 한복진흥원, 명주함창박물관, 곤충체험관도 덩달아 인기다. 이 대표는 “한복진흥원은 아이들 한복 체험도 새로 마련했다”고 말했다.
이 대표는 여기서 그치지 않고 상주의 명물인 명주를 활용한 ‘함창명주 리브랜딩’이라는 프로젝트를 추진 중이다. 이 대표가 새로 만든 법인인 아워시선은 중소벤처기업부가 공모한 ‘로컬브랜드 상권 창출팀’ 사업에 선정돼 내년까지 함창명주 장인학교 운영, 공동브랜드 개발, 메이커 스페이스 구축 등의 사업을 벌인다. 11억원의 사업비도 확보했다. 로컬크리에이터가 상주의 장인, 새로 유입된 청년 기업과 함께 전통 문화유산인 명주의 가치를 높이고 패션과 문화상품을 만드는 일이다. 지역의 인적, 물적 자원을 활용해 관계 인구도 늘리는 모델이 되고 있다. 아워시선은 제주의 카카오패밀리, 강릉의 더루트컴퍼니, 양양의 라온서피리조트 등 쟁쟁한 기업들과 함께 선정됐다.

이 대표의 로컬브랜딩 사업을 안내하고 연계해 준 박철훈 지역과소셜비즈 대표는 “명주정원과 아워시선의 사례는 앞으로 경북의 지자체가 로컬 크리에이터와 청년 기업을 통해 어떻게 지방소멸을 극복하고 관계 인구를 유입해야 하는가를 보여주는 대표 사례”라며 “지방에 귀환한 청년이 또 다른 청년의 유입을 불러오고 지방을 브랜딩하는 플랫폼이 되고 있다”고 강조했다.
상주=오경묵 기자 okmook@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