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 호황 지속 의문…정부, 우리 기업 보호 나서야"
입력
수정
전쟁과 선거 등 대외적 불확실성 강화
내수 부진은 내년에도 이어질 것
'사람' 중심 K팝 산업, 고도화 필요

29일 서울 정동에서 열린 <2025 한국경제 대전망> 출간 기념 간담회에서 이근 서울대 석좌교수(한국경제학회장)는 "미국을 비롯해 세계적으로 친환경 규제나 관세 등으로 자국 산업을 보호하려는 움직임이 강화하고 있다"며 "특히 제조업을 중심으로 대외환경이 악화하고 있는 상황에서 우리 정부도 국내 기업을 보호하려는 적극적인 움직임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이 책은 이 교수를 비롯해 류덕현 중앙대 교수(경제추격연구소장) 등 국내 경제전문가 33명이 편·저자로 참여했다. '한국경제 대전망' 시리즈는 앞서 2017년부터 매년 발간해왔다. 이번 신간의 핵심 주제는 '동상이몽'과 '동분서주'다. 류 교수는 "미국과 중국이 경제적·정치적 패권을 두고 경쟁하면서 서로 다른 목표를 추구하는 상황"이라며 "한국 정부는 기업의 이해관계와 애로사항을 반영해 적극적인 지원과 규제로 대응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글로벌 경쟁 환경이 변화하며 반도체 부문 호황이 오래 지속되지 않을 수 있다고 우려했다. 이동진 상명대 교수는 "글로벌 반도체 호황은 앞서 2016~2017년과 유사한 수준이지만, 국내 기업의 수출은 당시와 비교해 상승추세가 꺾이는 속도가 빠르다"며 "이번 호황은 인공지능(AI) 산업 발전이 이끈 것이지만, 우리 기업은 상대적으로 그 혜택을 크게 누리지 못하는 상황"이라고 분석했다.
금리 인하가 소비 진작으로 이어지기 위해선 부동산 정책 등이 보조를 맞춰야 한다는 주장도 나왔다. 허준영 서강대 교수는 "중앙은행의 금리인하 속도는 가계 부채 증가와 주택가격 상승에 따라 결정될 가능성이 높다"며 "금리 인하가 내수 활성화로 이어지려면 부동산 시장 안정화를 위한 정책 등이 병행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신연수 기자 sy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