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아파트가 5억에 팔리다니"…집주인들 술렁이는 동네
입력
수정
경매 인사이드
대출 규제와 매수 심리 위축이 심해지자 경매시장에서 인기 투자처인 수도권 아파트가 약세를 면치 못하고 있다. 낙찰가율(감정가 대비 낙찰가 비율)이 70%대인 사례도 속출하고 있다.9일 경·공매 데이터업체 지지옥션에 따르면 지난달 경기 아파트 낙찰가율은 87.4%로 두 달 연속 하락했다. 인천 아파트 낙찰가율도 79.8%에 머물며 지난 6월 이후 넉 달 만에 80% 선을 밑돌았다.
경기, 인천 등 수도권 아파트는 경매 시장에서 안전자산으로 꼽혀 입찰 경쟁률이 높은 편이다. 낙찰가율도 일반적으로 다른 지역보다 높다. 하지만 9월부터 시중은행이 대출 규모를 줄이는 등 시장 여건이 악화하자 수도권 일대 아파트도 매수세가 위축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경기 용인 처인구 마평동 B아파트 전용 84㎡는 최근 감정가 2억6200만원의 73.6%인 1억9200여만원에 팔렸다. 남양주 화도읍 C아파트 84㎡는 지난달 2억3900여만원에 매각됐다. 낙찰가율은 71.6%에 머물렀다. 모두 경기 낙찰가율 평균(87.4%)을 밑도는 가격이다.
입지가 좋은 새 아파트조차 저조한 낙찰가율을 나타냈다. 평택 내에서 주거 선호도가 높은 고덕국제신도시 단지도 마찬가지다. 고덕동 D아파트 전용 84㎡는 지난달 28일 감정가(6억4500만원)의 77.7%인 5억1000만원에 팔렸다. 한때 최고가가 7억2000여만원(2022년 1월)이었던 물건이다.낙찰가율이 내리는 추세지만 여러 차례 유찰된 물건은 시중 급매보다 저렴한 만큼 저가 매수세가 계속 유입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경기 의정부 장암동 E아파트 전용 42㎡는 지난 6일 감정가(2억1800만원)의 73.4%인 1억6000여만원에 매각됐다. 응찰자가 40여 명 몰렸다. 경매업계에서는 당분간 이 같은 현상이 이어질 것으로 보고 있다. 경매업계 관계자는 “거래 감소와 가격 상승 둔화 등의 영향으로 수도권 경매 시장에서 낙찰가율 하락 현상이 지속되고 있다”며 “금리 인하와 대출 규제 완화가 뒤따르지 않는 한 이 같은 흐름이 당분간 이어질 것”이라고 말했다.
심은지 기자 summit@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