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금융지주, 은행 의존 갈수록 커진다
입력
수정
지면A19
증권 등 비은행 자회사 실적 악화지방금융지주의 은행 의존도가 갈수록 높아지고 있다. 증권과 캐피털 등 비은행 자회사의 실적이 뒷걸음질 치면서다. 은행에 치우친 지방금융지주의 포트폴리오 개선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온다.11일 금융권에 따르면 BNK금융과 DGB금융, JB금융 등 3대 지방금융의 올해 3분기 합계 당기순이익은 5084억원으로 집계됐다. DGB금융은 전년보다 순이익이 줄었지만 BNK금융과 JB금융이 약진하면서 3대 지방금융의 총 순이익은 전년보다 4.5%(219억원) 증가했다.3대 지방금융의 핵심 자회사인 은행 실적은 사상 최고 기록을 갈아치웠다. 올 3분기 부산, 경남, iM(옛 대구), 전북, 광주 등 3대 지방금융에 속한 5개 은행의 합계 당기순이익은 5026억원을 기록했다. 부산은행과 iM뱅크가 각각 1333억원, 1324억원을 벌어들였다. 광주(900억원), 경남(865억원), 전북은행(604억원) 등도 좋은 실적을 냈다. 3대 지방금융 순이익(5084억원)에서 5개 은행(5026억원)이 차지하는 비중은 98.9%에 달한다.
전체 순이익에서 은행 비중 99%
연체율도 상승…건전성 관리해야
3대 지방금융의 비은행 자회사 순이익은 953억원에 그쳤다. 은행 순이익이 작년보다 16.2% 늘어났지만 비은행은 27.0% 감소했다. iM뱅크는 올 3분기 사상 최고 실적을 냈지만 iM증권은 346억원 순손실을 봤다.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여파로 올 들어 누적 적자가 1160억원에 달한다. 은행이 벌어놓은 돈을 증권이 까먹고 있는 셈이다. BNK금융도 전체 순이익에서 비은행이 차지하는 비중이 역대 최저치(15.5%)로 떨어졌다. 2021년엔 BNK금융의 비은행 순이익 비중이 31.4%에 달했다.
비은행 부문 부진 여파로 지방금융의 건전성이 악화하는 점도 우려스러운 대목이다. BNK금융의 올 3분기 연체율은 0.98%다. 2011년 지방은행 중 처음으로 지주사 체제로 전환한 이후 가장 높다. 2021년 BNK금융의 연체율(0.33%)과 비교해서도 3배 가까이 뛰었다. BNK금융의 연체율이 치솟은 것은 BNK캐피탈과 BNK투자증권의 부실이 늘어났기 때문이다. 은행은 부실채권 매각 등을 통해 연체율 관리에 나섰지만 증권과 캐피탈은 지주사가 대손충당금을 쌓고 있다.DGB금융도 올 3분기 연체율이 1.30%에 달했다. DGB금융이 연체율을 공개한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다. 시중은행으로 전환한 iM뱅크도 3분기 9년 만에 가장 높은 연체율(0.73%)을 기록했다. JB금융은 올해 초 연체율(1.17%)보다 소폭 하락(0.86%)했지만 여전히 관리가 필요한 수준이라는 시각도 있다.
한 금융지주 최고재무책임자(CFO)는 “금융당국의 가계대출 억제 방침 속에 은행권의 대출 수요가 캐피털과 저축은행 등 2금융권으로 몰리고 있다”며 “지방금융지주는 엄격한 연체율 관리가 필요한 시점”이라고 지적했다.
박재원 기자 wonderfu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