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개발 대신 골목 벽화' 논란 창신동, 6400가구 대단지로 재탄생
입력
수정
![](https://img.hankyung.com/photo/202411/01.38629631.1.png)
서울시는 창신동 23의 606 일대(옛 창신9구역)와 629 일대(옛 창신10구역)를 신통기획 신규 대상지로 확정했다고 13일 발표했다. 지난해 확정된 창신동 23의 2 일대·숭인동 56의 4 일대를 포함한 총 4곳(약 34만㎡에 6400여 가구가 들어서게 된다.창신동 일대는 가파른 구릉지형으로 도로가 협소하고 노후 건축물이 밀집한 지역이다. 주변 한양도성, 흥인지문 등 국가유산으로 인한 규제가 많은 곳이기도 하다. 2007년 오세훈 시장 재임 시절 뉴타운지구로 지정돼 아파트 단지 등으로 재개발될 예정이었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2411/01.38629636.1.jpg)
열악한 도로를 개선하고 교통체계를 대대적으로 정비한다. 대상지 일대를 남북으로 관통하는 창신길의 폭을 넓혀 남쪽 종로와 북쪽 낙산길로의 편안한 진출입을 돕는다. 종로로 집중될 수 있는 교통량 분산을 위해 동쪽 지봉로와 서쪽 율곡로를 잇는 동서 연결도로도 확충할 계획이다.
보행육교·엘리베이터 등도 연계했다. 구릉지 위쪽에 자리해 접근이 어려웠던 노인복지센터, 주민센터 등 공공시설을 창신길과 종로 이면부 등 하부로 이전해 지역 활성화를 유도한다. 지형 차이와 경사를 활용해 테라스하우스나 필로티·연도형 상가 등 창의적 건축 디자인을 적용한다. 이를 통해 앙각규정 등 제약사항을 극복하고 사업성을 개선하기로 했다.
박진우 기자 jwp@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