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사 '급' 높인 中…북러 밀착 맞물려 한중관계 개선되나
입력
수정
신임 주한 중국대사에 전임 대사보다 한 단계 '급'이 높은 인물이 내정되는 등 중국이 한중 관계 개선 의지를 내비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북한군의 러시아 파병 등 북러의 밀착과 트럼프 2기 행정부의 출범이 엮여 한국에 손을 내밀고 있다는 관측이다.
14일 외교가에 따르면 중국 정부는 다이빙 주유엔 중국 부대표를 신임 주한 중국대사로 내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중국은 그동안 미국이나 일본, 북한에는 차관급 대사를, 한국에는 그보다 낮은 국장급 대사를 보내왔다. 전임 싱하이밍 대사 역시 아주국 부국장을 지낸 뒤 주몽골 중국대사를 거쳐 한국에 부임했다.신임 중국대사로 내정된 다이 부대표 역시 2017년부터 아프리카사장(국장)을 지냈다. 다만 본부에서 국장을 거치지 않고 바로 대사로 부임한 전임 싱 대사와는 달리, 다이 부대표는 이미 국장을 거친 뒤 유엔 부대표를 지내고 부임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통상 유엔 부대표는 국장보다는 높은 직급으로 인식되기도 한다.
중국이 기존보다 '중량급'으로 평가받는 인사를 한국 대사로 보내면서 한중관계 개선에 의지를 보인 것이 아니냐는 관측이 나온다. 우리 정부도 지난달 윤석열 대통령의 최측근인 김대기 전 대통령실 비서실장을 신임 주중 한국대사로 낙점했다. '성의'를 보인 우리 측의 대사 인사에 중국 정부도 화답한 것이라는 분석이다.한중관계는 최근 개선되는 신호가 여럿 나오고 있다. 지난 1일엔 중국 정부가 수교 이후 처음으로 한국을 비자 면제 대상 국가에 포함시켰다. 또 한국과 중국은 15일부터 열리는 페루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와 브라질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를 계기로 한중 정상회담 개최 방안도 논의하고 있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은 내년 한국에서 열리는 APEC에 방한할 가능성이 대두된다. 지난 5월 이후로는 한중 외교차관 전략대화가 열리는 등 고위급 인사 교류도 늘어나는 추세다.이런 배경엔 급변한 지정학적 환경이 놓여 있다. 우선 북한군의 러시아 파병과 함께 북러의 밀착이 심화되고 있다. 북한군은 최근 이미 러시아 쿠르스크 지역에서 전투를 시작했다. 기존 북중러로 묶이던 구도에서 중국이 멀어진 상황이다. 이 탓에 한반도에서 자신들의 영향력이 줄어들 것을 의식했을 가능성이 대두된다. 그러면서도 국제사회에서의 평판을 의식해 북중러 구도로 엮이는 것을 꺼려하고 있다. 지난 12일 외교부 고위 당국자는 "이런 입장을 우리 측에 유리하게 활용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이 재집권하게 되면 미중 경쟁이 격화될 가능성도 염두에 둔 것으로 풀이된다.
강준영 한국외대 국제지역대학원 교수는 "주한 중국대사 인사는 북러 밀착과 미중 갈등 격화 속에서 중국이 한국에 관계 개선 의지가 있음을 보여주고, 한국통이 아닌 유엔에서 다자외교를 경험한 인물을 대사로 보내면서 협력 폭을 넓히겠다는 의도"라며 "중국 입장에서는 현 상황을 그대로 두면 한미 동맹과 한미일 3각 공조가 더 강화될 것이라고 보고, 선제적 조치를 취한 것으로도 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강 교수는 또 "우리 정부는 트럼프 2기 행정부와 중국 사이에서 우리 국익에 초점을 맞추겠다는 의지를 양국에 보여줄 필요가 있다"며 "다만 한중 관계 개선 모멘텀이 마련된 만큼 소통 채널을 유지하면서 대화를 해나가야 한다"고 덧붙였다.
다만 여전히 한중관계 개선 신호가 확실한 것으로 보기는 어렵다는 분석도 나온다. 일련의 조치들에 '일희일비'하지 말아야 한다는 지적이다. 주재우 경희대 중국학과 교수는 "중국이 한국을 향한 기본적인 외교 스탠스를 바꾸지 않는 상황에서 일희일비할 필요가 없다"면서 "북중러의 그동안의 긴밀한 관계를 고려하면 북러가 밀착한다고 해서 중국이 곧바로 멀어진다고 볼 수도 없다"고 했다. 그러면서 "우리 역시 전략적 사고를 갖고 국익 우선으로 외교를 해나갈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김종우 기자 jongwoo@hankyung.com
14일 외교가에 따르면 중국 정부는 다이빙 주유엔 중국 부대표를 신임 주한 중국대사로 내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중국은 그동안 미국이나 일본, 북한에는 차관급 대사를, 한국에는 그보다 낮은 국장급 대사를 보내왔다. 전임 싱하이밍 대사 역시 아주국 부국장을 지낸 뒤 주몽골 중국대사를 거쳐 한국에 부임했다.신임 중국대사로 내정된 다이 부대표 역시 2017년부터 아프리카사장(국장)을 지냈다. 다만 본부에서 국장을 거치지 않고 바로 대사로 부임한 전임 싱 대사와는 달리, 다이 부대표는 이미 국장을 거친 뒤 유엔 부대표를 지내고 부임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통상 유엔 부대표는 국장보다는 높은 직급으로 인식되기도 한다.
중국이 기존보다 '중량급'으로 평가받는 인사를 한국 대사로 보내면서 한중관계 개선에 의지를 보인 것이 아니냐는 관측이 나온다. 우리 정부도 지난달 윤석열 대통령의 최측근인 김대기 전 대통령실 비서실장을 신임 주중 한국대사로 낙점했다. '성의'를 보인 우리 측의 대사 인사에 중국 정부도 화답한 것이라는 분석이다.한중관계는 최근 개선되는 신호가 여럿 나오고 있다. 지난 1일엔 중국 정부가 수교 이후 처음으로 한국을 비자 면제 대상 국가에 포함시켰다. 또 한국과 중국은 15일부터 열리는 페루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와 브라질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를 계기로 한중 정상회담 개최 방안도 논의하고 있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은 내년 한국에서 열리는 APEC에 방한할 가능성이 대두된다. 지난 5월 이후로는 한중 외교차관 전략대화가 열리는 등 고위급 인사 교류도 늘어나는 추세다.이런 배경엔 급변한 지정학적 환경이 놓여 있다. 우선 북한군의 러시아 파병과 함께 북러의 밀착이 심화되고 있다. 북한군은 최근 이미 러시아 쿠르스크 지역에서 전투를 시작했다. 기존 북중러로 묶이던 구도에서 중국이 멀어진 상황이다. 이 탓에 한반도에서 자신들의 영향력이 줄어들 것을 의식했을 가능성이 대두된다. 그러면서도 국제사회에서의 평판을 의식해 북중러 구도로 엮이는 것을 꺼려하고 있다. 지난 12일 외교부 고위 당국자는 "이런 입장을 우리 측에 유리하게 활용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이 재집권하게 되면 미중 경쟁이 격화될 가능성도 염두에 둔 것으로 풀이된다.
강준영 한국외대 국제지역대학원 교수는 "주한 중국대사 인사는 북러 밀착과 미중 갈등 격화 속에서 중국이 한국에 관계 개선 의지가 있음을 보여주고, 한국통이 아닌 유엔에서 다자외교를 경험한 인물을 대사로 보내면서 협력 폭을 넓히겠다는 의도"라며 "중국 입장에서는 현 상황을 그대로 두면 한미 동맹과 한미일 3각 공조가 더 강화될 것이라고 보고, 선제적 조치를 취한 것으로도 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강 교수는 또 "우리 정부는 트럼프 2기 행정부와 중국 사이에서 우리 국익에 초점을 맞추겠다는 의지를 양국에 보여줄 필요가 있다"며 "다만 한중 관계 개선 모멘텀이 마련된 만큼 소통 채널을 유지하면서 대화를 해나가야 한다"고 덧붙였다.
다만 여전히 한중관계 개선 신호가 확실한 것으로 보기는 어렵다는 분석도 나온다. 일련의 조치들에 '일희일비'하지 말아야 한다는 지적이다. 주재우 경희대 중국학과 교수는 "중국이 한국을 향한 기본적인 외교 스탠스를 바꾸지 않는 상황에서 일희일비할 필요가 없다"면서 "북중러의 그동안의 긴밀한 관계를 고려하면 북러가 밀착한다고 해서 중국이 곧바로 멀어진다고 볼 수도 없다"고 했다. 그러면서 "우리 역시 전략적 사고를 갖고 국익 우선으로 외교를 해나갈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김종우 기자 jongwo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