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하영의 신들린 첼로가 그린 소통의 단절과 불안의 초상

한경arte필하모닉 시리즈 9 리뷰
첼리스트 최하영, 이병욱 지휘 아르떼필과 호흡
퀸엘리자베스 우승 안겨준 루트스와프스키 협주곡 협연
이병욱이 지휘하는 한경아르떼필하모닉은 19일 찰스 아이브스의 ‘대답없는 질문’으로 공연의 문을 열었다. 롯데콘서트홀 우측 상단의 오르간 옆에 위치한 트럼펫과 무대 위 오케스트라의 플루트 4대, 현악기들이 어우러진 이 곡은 이날 모든 프로그램에 드리운 ‘소통의 단절과 불안’이라는 키워드를 짧지만 뚜렷하게 관객들에게 제시했다. 트럼펫의 고독한 질문과 플루트의 신경질적인 답변, 불협화음의 교환과 현악기들의 마무리는 평온해 보이는 일상도 어느 정도 뒤틀려 있다는 이미지를 던졌다.

최하영이 첼로를 들고 등장했다. 모호했던 분위기가 떠돌던 무대가 화사해졌다. 그녀의 장기인 루토스와프스키 첼로 협주곡은 2022년 퀸 엘리자베스 콩쿠르 결선에서 기립박수와 우승을 가져다준 곡이다. 최하영은 이 곡을 연주했던 경험을 회상하며 “원맨쇼 하는 배우가 돼야 했다. 마디마디 캐릭터가 계속 바뀌기에 표현의 디테일도 중요하지만 큰 그림을 연주해야 한다. 곡 속의 억압, 분쟁, 투쟁, 대화 등을 상상하고 첼로로 전달하려 했다”고 밝힌 바 있다.
19일 롯데콘서트홀에서 첼리스트 최하영이 한경 아르떼필하모닉과 루토스와프스키 첼로 협주곡을 협연하고 있다.
그녀의 말처럼 곡은 모노드라마 같은 첼로의 독백으로 시작했다. 단속적인 운궁 뒤에 피에로 같은 다양한 표정으로 부드러움과 강렬함을 대비시켰다. 첼로는 삐친 듯 뾰로통함과 열정, 히스테리와 탄식, 투쟁과 체념을 이야기하는 듯했다. 규칙적으로 신경질적인 운궁에 이어 드디어 오케스트라 금관군이 합세했다. 첼로에 드리운 그림자만큼 트럼펫이 채우는 듯했다. 첼로와 오케스트라의 문답이 계속되며 아이브스 작품과의 연속성이 느껴졌다. 현악군의 피치카토와 울부짖는 타악기, 공격적인 금관군의 포효에 이어 공허함이 엄습하며 첼로의 배경이 됐다.

무녀를 연상시키는 신들린 연주였다. 트롬본이 울부짖고 무궁동적인 첼로의 속주에 이어 잠자리의 날갯짓같은 규칙적이고 열띤 연주가 이어졌다. 플루트와 금관의 대립이 다시 한 번 ‘대답 없는 질문’을 연상시켰고 저역 현악기의 피치카토가 묵직하게 지나간 뒤 슬프고 우울한 첼로의 보잉 뒤로 바이올린군의 연주가 공습경보 사이렌처럼 깔렸다. 스산한 바람이 부는 듯한 현악군 연주 사이에 홀로 선 첼로가 몸부림쳤다. 점점 빨라지는 첼로와 현악에 이어 관악군이 끔찍한 전장의 한가운데 같은 풍경을 그렸다. 첼로와 관현악의 문답이 이어질 때 서슬 퍼런 날카로운 긴장감이 감돌았다. 피날레에서 첫 독백 부분을 단말마처럼 외치며 곡이 끝나자 관객들이 보낸 따스한 박수는 ‘익숙한 현실로 돌아왔다’는 안도감으로 이어졌다.
19일 롯데콘서트홀에서 첼리스트 최하영이 한경 아르떼필하모닉과 루토스와프스키 첼로 협주곡을 협연하고 있다.
최하영은 앙코르로 바흐 무반주 첼로 모음곡 3번 중 사라방드를 연주했다. 가끔씩 장식음을 자연스럽게 섞은 춤곡은 멀리서 본 세상과 닮아 있었다. 그 우아해 보이는 세계가 사실은 얼마나 취약하고 불안한 것인지를 음악으로 보여준 듯했다.지휘자 이병욱의 카리스마는 쇼스타코비치 교향곡 5번에서 본격적으로 발휘됐다. 청중은 첼로와 더블베이스 저음의 질문과 바이올린 고음의 응답이 자아내는 불안 속으로 곧장 빨려들어갔다. 바이올린군이 차갑게 불어넣는 냉기 위에 목관과 금관이 열띤 상황으로 고조시켰다. 바이올린군의 정연함과 첼로의 중후함이 맞서고 피아노와 음울한 금관군이 플루트에서 점화되며 느긋했던 정조를 잰걸음으로 팽팽하게 각성시켰다. 관과 현의 날이 서고 폭발하며 최고 음량으로 부풀어올랐다. 호른과 플루트의 선율이 나오는 곳에서 호른의 음색이 어색했고, 악장의 바이올린 솔로 부분은 더 신랄했으면 좋았을 것이다. 신나면서도 어딘지 기괴한 2악장 왈츠에서도 악장의 솔로는 자연스럽게 녹아들지 못했다.

3악장은 처절한 비애감을 잘 표현했다. 플루트와 하프는 마치 시간이 멈춘 듯한 정적인 분위기와 그로 인한 불안감을 잘 표현했다. 슬픔의 한 줄기 개울은, 강이 되고, 범람하여 바다로 갔다. 이병욱은 진득하게 감정의 진창같은 공간을 만들었다. 실로폰과 현의 트레몰로 연주는 불안감을 최고조로 만들었고 첼로군은 회한을 풀어냈다. 현악과 하프는 수그린 채 엎드려 울먹이는 듯했다.

4악장은 무자비할 정도의 큰 음량으로 다가왔다. 정신을 못 차릴 정도의 질주는 러시아적인 묵직함과 일사불란함을 띠고 있었다. 깨질 듯한 실로폰과 터질듯한 금관에 이어 심벌즈와 팀파니, 스네어드럼, 큰 북이 화려하게 곡을 마칠 때 청중의 환호도 우렁찼다. 성공적인 연주일수록 뒷맛은 씁쓸한 곡이다. 쇼스타코비치는 이 작품으로 소련 당국에 잘 보이는 데 성공했지만, 거기엔 억압된 춤과 자유가 일그러진 표정을 하고 있다. 이병욱은 목관악기군의 활약이 마음에 들었던 것 같다. 플루트와 오보에, 클라리넷과 바순을 가장 먼저 일으켜 세웠다.
19일 롯데콘서트홀에서 첼리스트 최하영이 한경 아르떼필하모닉과 루토스와프스키 첼로 협주곡 협연을 마친뒤 지휘자 이병욱과 함께 청중들에게 인사를 하고 있다.
음악은 우리의 삶을 반영한다. 따라서 아름답고 우아한 것만이 전부가 아니다. 모두가 소통의 단절과 불안을 안고 살아간다. 불 켜진 콘서트홀의 청중을 보며 왠지 짠하면서도 위안을 느꼈다.

류태형 음악칼럼니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