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삼성대 석사·LG대 박사 출신 나온다…대기업들 '파격'
입력
수정
지면A2
삼성대 석사, LG대 박사…대기업들 '즉시전력감' 직접 키운다정식 석·박사 학위를 주는 세계 최초의 사내 대학원인 ‘LG 인공지능(AI) 대학원’이 내년 9월 문을 연다. 내년 1월 ‘첨단산업인재혁신특별법’(첨단인재법) 시행에 따라 ‘삼성대 석사’ ‘LG대 박사’를 배출할 길이 열렸기 때문이다.
내년 첨단인재법 시행…사내대학원, 정식 석·박사 학위 수여
LG, 세계 첫 'AI 대학원' 연다
'AI 20년 연구' 현역 임원급 교수
기업 고가 실험·생산장비 활용
실시간 발전하는 첨단기술 교육
HBM 석사, 1년만에 딴다
커리큘럼·학생 선발 규제 완화로
주력사업 특화인재 단기간 육성
25일 관계 부처와 재계에 따르면 LG그룹은 내년 9월 교육부의 정식 인가를 받은 사내 대학원인 LG AI 대학원을 정원 30명(석사 20명·박사 10명) 규모로 개교한다. 글로벌 기업들이 학사 학위를 주는 사내 대학을 운영하는 사례는 있지만 석·박사 학위를 주는 사내 대학원은 LG그룹이 세계 최초다.
○첨단산업에 즉시 전력감 공급
LG그룹은 2022년부터 사내 대학원 과정을 운영했다. 과정을 마친 임직원에게 석·박사 학위를 줬지만 정식 학위는 아니었다. 한국 법상 사내 대학은 설립할 수 있지만 사내 대학원은 법적인 근거가 없었기 때문이다.
사내 대학원이 가능해진 건 첨단인재법이 지난 18일 입법예고를 마치고 내년 1월 17일부터 시행되기 때문이다. 사내 대학만 가능했던 평생교육 시설의 설치와 운영이 사내 대학원으로 확대된다.
첨단인재법은 AI, 반도체, 모빌리티와 같이 고도 인재가 절실한 최첨단 산업에 즉시 전력감 인재를 공급하고 기술 발전 속도에 맞춰 기존 인력을 재교육하기 위해 마련됐다.LG AI 대학원은 첨단인재법 적용을 받는 첫 사내 대학원이다. 교육부 인가를 받은 대학원이기 때문에 정식 석·박사 학위를 줄 수 있다. 이 학교 출신 석사가 미국 매사추세츠공과대(MIT) 박사 과정에 도전하고, 박사가 서울대 교수가 될 수 있다.
기존 대학원의 교원 임용 제도와 학생 선발 방식의 틀도 깼다. 한국에서 대학 교수가 되려면 총 10년 이상의 연구·교육 경력이 필요하다. 여기에 사실상 박사 학위가 필수여서 대학교수는 대부분 전문 교육가의 길을 걸어온 학자들로 채워졌다. 교육 기자재의 한계도 뚜렷했다. 한 사립대 반도체학과 교수는 “나노급 노광장비는 대당 가격이 수백억원을 넘다 보니 기업의 퇴역 설비를 기증받는 현실”이라고 말했다.
첨단산업 분야의 기술은 월이나 분기 단위로 발전하는데 대학원은 한두 세대 전 지식을 가르칠 수밖에 없는 구조였다. 첨단인재법은 석·박사가 아니어도 기술사, 기능장 자격을 갖췄거나 해당 산업 분야에서 10~13년 이상 종사한 전문 양성인이라면 사내 대학원 교수가 될 수 있도록 했다. 이 덕분에 사내 대학원은 회사 내에 있는 캠퍼스에서 잔뼈 굵은 현역 전문가, 기업의 고가 실험·생산 장비, 고유 데이터를 활용해 인재를 기를 수 있다.LG그룹도 20년 가까이 AI를 연구한 전문가이면서 삼성탈레스, SK텔레콤, 구글의 AI 연구조직 ‘구글 브레인’을 거친 현역 임원급 기업인으로 교수진을 채울 수 있게 됐다.
○주력사업 특화 인재 배출할 길 열려
커리큘럼도 자유롭게 짤 수 있다. 반도체 대학원이라면 ‘낸드플래시 전공’ ‘D램 전공’ ‘고대역폭메모리(HBM) 전공’ 등 특정 분야에 전문성을 갖춘 석·박사를 배출할 수 있다.
2년 걸리는 석사 학위를 1년 만에 딸 수 있다. 2년 이상 걸리는 박사 학위는 6개월, 석·박사 통합 과정은 1년6개월로 취득 기간을 줄일 수 있다. 기업들이 AI, 반도체와 같이 글로벌 인재 쟁탈전이 벌어지는 첨단산업 분야의 인재를 단기간에 자체 육성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독자적으로 사내 대학원을 운영하기 힘든 기업은 기존 대학에 위탁할 수 있다. 기업이 자체적으로 구성한 커리큘럼과 교수진으로 대학 인력, 인프라를 활용하는 방식이다. 한화그룹이 충남대에 방위산업 전문 사내 대학원을 위탁했다면 학위 취득자는 한화방산대학원·충남대 석·박사 학위를 받는 식이다.
산업통상자원부 관계자는 “삼성·SK 반도체 대학원, 현대자동차 모빌리티 대학원같이 각 기업의 주력 사업에 특화한 사내 대학원 설립이 가능해졌다”며 “인구 감소로 신입생 모집에 어려움을 겪는 지역 대학과 ‘윈윈’도 기대할 수 있다”고 말했다.
정영효/김채연 기자 hugh@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