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차 공세에…동남아서도 일본차 밀려나
입력
수정
중국 포함,충성도높은 동남아시장서 일제히 점유율 하락중국이 전세계 자동차 시장에 대한 공세를 가속화하면서 일본 자동차 업체들이 가장 큰 희생자로 떠오르고 있다. 전기차 전환이 늦어지면서 중국 전기차들에 밀린 것이 가장 큰 요인이지만, 일반 승용차에서도 중국산에 밀리고 있다.
중국차,유럽현지생산 및 중동,아프리카 등으로 확장
27일(현지시간) 블룸버그에 따르면, 일본 자동차 제조업체들은 세계 최대 자동차 시장인 중국에서 중국 현지 자동차회사들과의 경쟁에서 밀리는데 이어 최근에는 전통적인 일본차 시장이었던 동남아시아 시장에서도 중국차에 밀리고 있다. 블룸버그가 자동차 판매 및 등록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일본 자동차 제조업체는 2019년부터 2024년까지 중국, 싱가포르, 태국,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에서 국가별 자동차 제조업체중 시장 점유율이 가장 크게 줄어들었다.
최대 시장인 중국에서 일본 자동차의 점유율은 5년간 8.8% 감소했다. 닛산,마쓰다,도요타,렉서스,미쓰비시 등 일본산 자동차는 모두 점유율이 줄었다.
반면 BYD와 리오토, 울링, 세레스 같은 중국 현지 브랜드 차량은 같은 기간중 점유율을 23% 늘렸다. 일본외에도 독일·미국산 자동차(전기차인 테슬라만 상승)의 점유율도 감소했지만 일본산 자동차의 점유율 하락폭이 가장 크다. 일본차에 대한 충성도가 너무 강해 2019년까지 거의 모든 차가 일본산이었던 인도네시아에서도 일본차의 점유율은 6.1% 감소했다. 도요타를 제외한 모든 일본 자동차의 점유율이 떨어졌다.
불과 7월에 첫번째 차량을 판매한 인도네시아에서 BYD는 10월에 매출 6위 브랜드가 됐고 태국에서는 일본 자동차의 점유율이 2019년 50% 이상에서 올해 35%로 내려왔다.
판매량 기준 세계 1위의 자동차 제조업체인 토요타의 경우 태국내 신차 판매의 40%를 픽업트럭이 차지하고 있다. 픽업트럭 같은 일부 세그먼트에서의 우위로 인도네시아,태국,말레이시아에서는 점유율을 조금 늘려가며 지키고 있다. 2019년 싱가포르 시장에서 21%의 점유율을 차지했던 혼다의 시장 점유율은 5년새 절반에도 못미치는 9.3%로 낮아졌다. 전체 일본차 브랜드의 점유율은 18% 급락했다. 그 자리를 BYD,체리, 리오토 등 중국브랜드 차량이 차지하고 있다.
아직 유럽과 미국 시장에서는 중국 자동차에 대한 징벌적 관세로 인해 중국 자동차가 판매되지 않고 있다. 징벌적 관세가 아니라면, 이들 시장에서도 어떻게 될 지 모를 일이다.
아시아지역에서 일본 자동차 중에서는 상대적으로 토요타가 버티고 있는 것은 이 지역내에 구축한 현지 공장의 생산 능력에 의해 뒷받침되고 있다. 토요타는 동남아시아 현지 고객들에게 인기 있는 대형 엔진을 장착한 여러 대의 가솔린 자동차를 생산하고 있다. 태국과 인도네시아는 2023년에 토요타가 생산한 약 1,100만 대의 차량 중 거의 10%를 생산했다.
일본 브랜드들도 반격을 위해 파트너십과 차량용 소프트웨어, 고체 배터리 처럼 우위를 되찾기 위해 필요한 기술 개발에 나서고 있다.
올해 초, 토요타는 하이브리드 기술을 더욱 개선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는 소위 탄소 중립 연소 엔진의 프로토타입을 공개했다. 또한 중국 EV처럼 자체 소프트웨어 플랫폼 구축에도 나섰다.
이러한 전략은 북미에서는 효과를 거두고 있다. 전기 자동차 성장이 침체되는 가운데 하이브리드 자동차 인기가 높아져 판매량을 늘리고 있다.
중국 시장을 필두로 아시아 시장에서 일본차 위상이 하락하게 된 가장 큰 이유는 전기차로의 전환이 느렸던 것이 가장 크다. 배터리전기차와 플러그인하이브리드 같은 친환경차를 정책적으로 지원하는 최대 시장인 중국내 부진은 전기차 전환이 느렸던데 따른 대가로 볼 수 있다.
중국은 세계 최대의 자동차 제조 허브로 부상했다. 이제는 유럽과 미국의 징벌적 관세를 피하기 위해 유럽내 생산 현지화와 북미 지역 경우 멕시코 공장 건설 등에 나서고 있다.
블룸버그 인텔리전스에 따르면 중국은 저렴한 배터리 분야의 우위로 해외에 공급망을 구축하고 있다. 이를 기반으로 동남아시아를 넘어 중동과 아프리카에서도 중국 자동차들의 공세가 확산되고 있다. 블룸버그 인텔리전스의 수석 자동차 분석가 타츠오 요시다는 중국 브랜드가 향후 동남아시아를 중심으로 전세계 시장 점유율을 두 배로 늘릴 것으로 예상했다.
김정아 객원기자 kj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