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글기자 코너] 한국 ESS 산업 도약의 기회 왔다

친환경 전력 인프라를 구축하려면 ESS가 필수다. 적극적 투자와 기술개발이 뒷받침된다면 트럼프 2기는 국내 ESS 산업이 재도약할 기회가 될 것이다.
난달 미국 대통령 선거에서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당선된 직후 국내 이차전지 관련 기업의 주가가 큰 폭으로 하락했다. 트럼프 당선인이 화석연료 확대 정책을 내세운 것이 전기차와 배터리 산업에 악재로 작용한 것이다. 그는 바이든 정부의 친환경 에너지 정책을 비판하며 화석연료 관련 산업을 부흥시키겠다고 공약했다.

그러나 트럼프 당선인의 득표율이 높았던 텍사스와 오클라호마 등지에서는 오히려 태양광에너지 투자가 지속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일사량과 풍량이 풍부한 자연환경 덕분에 신재생에너지 관련 투자가 이들 지역에 집중됐기 때문이다.미국 태양광 산업은 그동안 중국산 저가 제품에 대한 의존도가 높았다. 트럼프 당선인이 취임 후 보호무역과 대중국 제재를 강화하면 한국 기업이 반사이익을 얻을 가능성이 있다.

태양광과 풍력 발전은 출력이 불규칙하고 날씨에 따라 전력 생산에 변동이 크다는 단점이 있다. 에너지 저장 시스템 ESS(Energy Storage System)는 이러한 변동성을 보완해 안정적 전력 공급을 가능하게 한다. 친환경 전력 인프라를 구축하려면 ESS가 필수다. 과거 LG에너지솔루션과 삼성SDI 등 국내 기업이 글로벌 ESS 시장의 70%를 차지했다. 그러나 중국 업체들의 저가 공세에 밀려 점유율을 내줬다.

트럼프 당선인의 강경한 대중국 정책은 한국 기업에 새로운 기회가 될 수 있다. 적극적 투자와 기술개발이 뒷받침된다면 트럼프 2기는 국내 ESS 산업이 재도약할 기회가 될 것이다.

김해린 생글기자(정신여고 1학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