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은 어디로 갔을까
입력
수정
[arte] 김기태의 처음 책 이야기스테디셀러의 표본, 초판 1쇄 이후 29년 만에 밀리언셀러가 된 책
조세희 소설집 / 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 / 문학과지성사 / 1978년 06월 10일 발행
작가 조세희(趙世熙, 1942~2022)의 대표작 ‘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은 『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이라는 제목의 단행본으로 묶인 연작소설 전체를 가리키는 말인 동시에 중편소설 「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 한 편만을 가리키기도 한다. 특히, 단행본은 1975년부터 1978년 사이에 발표된 12편의 연작 중, 단편을 담고 있다. 12편의 연작 제목을 게재된 순서대로 작품 최초 발표 지면 및 시기와 함께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뫼비우스의 띠 / 《세대》, 1976.02.
● 칼날 / 《문학사상》, 1975.12.
● 宇宙旅行(우주여행) / 《뿌리깊은 나무》, 1976.09.
● 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 / 《문학과 지성》, 1976. 겨울
● 陸橋(육교) 위에서 / 《세대》, 1977.02.
● 軌道回轉(궤도회전) / 《한국문학》, 1977.06.
● 機械都市(기계도시) / 《대학신문》, 1977.06.20.
● 은강 勞動家族(노동가족)의 生計費(생계비) / 《문학사상》, 1977.10.
● 잘못은 神(신)에게도 있다 / 《문예중앙》, 1977. 겨울
● 클라인氏(씨)의 甁(병) / 《문학과 지성》, 1978. 봄
● 내 그물로 오는 가시고기 / 《창작과 비평》, 1978. 여름
● 에필로그 / 《문학사상》, 1978.03.이 책에 실려 있는 각각의 작품들은 독립된 작품으로서 독자적인 의미를 지니고 있으면서도 모두 함께 어울려 한 편의 장편소설을 이루고 있다. 산동네 철거민촌에 살면서 채권 장사, 수도 파이프 수리 등으로 한 가족의 생계를 책임지고 있는 ‘난장이1)’ 아버지를 포함하여, 어머니와 두 아들 ‘영수’와 ‘영호’, 그리고 막내딸인 ‘영희’ 등 다섯 명의 가족 이야기가 핵심을 이룬다.
그중에서도 표제작인 중편 「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이하 ‘난쏘공’)」은 하루 벌어 하루 먹고 사는 일용직 노동자인 난장이의 가족이 강제 철거를 당하게 되자 난장이가 벽돌공장 굴뚝에 올라가 추락사하고, 그의 아이들이 공장 노동자가 되어 노동운동을 전개하는 과정을 중심으로 ‘신애’와 ‘지섭’ 등 삶의 배경이 다른 여러 인물과 사건을 등장시키고 있다. 따라서 난쏘공은 단편 한 작품보다는 연작 전체와의 관계 속에서 좀 더 체계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난쏘공 한 작품에만 한정해서 살핀다면 도시 빈민 난장이가 개발 명목으로 이루어진 강제 철거 때문에 보금자리를 잃고 끝내 자살에 이르렀다는 줄거리로 요약할 수 있다. 그러나 난장이의 죽음은 단순히 강제 철거뿐만 아니라 사회구조 전반의 문제와 연결되어 있으며, 이를 제대로 파악하기 위해서는 난장이의 자식들과 함께 ‘앉은뱅이’와 ‘꼽추’의 이야기, 약자 편에 서 있는 ‘신애’ 혹은 ‘지섭’과 같은 지식인의 이야기, 그리고 그 반대편에 있는 자본가 및 상류층의 이야기를 함께 읽는 것이 필요하다. 곧 난쏘공은 산동네 철거민 출신으로 공장 노동자가 된 난장이 일가를 통해 도시빈민과 노동자 등 1970년대 민중의 삶을 다룬 작품이다.
실제로 우리나라에서 1960년대부터 급격하게 산업화가 이루어지면서 사회 전반의 빈부격차가 심해졌고, 도시와 농촌의 경제 불균형이 심각해지면서 노동자와 농민의 반발 또한 거세지기 시작했다. 그리고 도시의 무분별한 확대와 공해(公害) 등 환경파괴 현상이 새로운 사회문제로 떠오르게 되었다.
1970년 평화시장 봉제 노동자였던 전태일(全泰壹, 1948~1970)의 분신과 1971년 경기도 광주대단지사건2) 등을 통해 시작된 민중의 저항은 민주화와 사회정의를 요구하던 지식인들로 하여금 민중에 대한 적극적인 관심을 촉구했고, 민주화와 함께 민중의 생존권 보장을 요구하는 사회운동이 동시에 일어나는 계기가 되었다. 난쏘공 연작은 이러한 1970년대의 사회 분위기를 대변한 것이었다.[8.10광주대단지사태]
한편, 중편 난쏘공은 발표되자마자 문단과 독자의 주목을 받은 문제작이었다. 이 작품은 《문학과 지성》 1976년 겨울호에 처음 실렸는데, 이듬해 문학사상사에서 월간 문예지 《문학사상》 창간 5주년을 기념해 제정한 이상문학상(李箱文學賞)의 제1회 수상후보작으로 선정되었다.
구체적으로는 “작품의 선고방식(選考方式)은 지난해 8월부터 그해 7월까지 12개월 동안에 발표된 신작으로 국한하고(단편·중편·장편을 가리지 않고), 작가의 문단 경력이나 업적에 구애되지 않고, 기성이든 신인이든 작품 위주로 대상작(對象作)을 선정하기로” 정한 이상문학상 심사 원칙에 따라 문학평론가, 신문사 문화부 기자, 독자, 문학전공 교수 등 4개 분야의 추천을 받아 최종 8편의 후보작을 선정했는데, 중편 난쏘공은 그중 ‘신문문화부 추천 우수작’으로 뽑혀 최종심 대상작이 되었다.비록 본상 수상작은 김승옥의 「서울의 달빛 0장(章)」이 차지했지만, 한 해 동안 발표된 수많은 작품 중에서 문화부 기자들의 선택을 받았다는 점에서, 더구나 다음에서 보는 것처럼 최종 후보작들의 면면이 당대 최고 작가들의 작품이라는 점에서 난쏘공은 이미 절정의 작품성을 보여주고 있었다.<제1회 이상문학상(1977년) 수상작품집 게재작>
● 독자 추천우수작/본상수상작: 김승옥, 「서울의 달빛 0장」(《문학사상》 1977.07.)
● 독자 추천우수작: 최인호, 「두레박을 올려라」(《문학사상》 1977.02.)
● 신문문화부 추천우수작: 조세희, 「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
● 신문문화부 추천우수작: 한수산, 「침묵」(《문학사상》 1977.07.)
● 학계 추천우수작: 이병주, 「정학준(鄭學準)」(《한국문학》 1977.05.)
● 학계 추천우수작: 이청준, 「지배와 해방」(《세계의 문학》 1977. 봄)
● 비평계 추천우수작: 박완서, 「조그만 체험기」(《창작과 비평》 1976. 겨울)
● 비평계 추천우수작: 윤흥길, 「아홉 켤레의 구두로 남은 사내」 1976. 여름)
▶ 심사위원: 김동리, 백철, 유주현, 황순원, 이어령
이처럼 난쏘공 연작은 당대 사회 문제의 핵심을 내포하고 있으면서도 세련된 문체와 독특한 형식을 구사함으로써 예술적 완성도 또한 함께 갖춘 사례로서 우리 현대문학의 고전(古典)으로 우뚝 서게 되었다. 1980년대를 관통하는 동안 언제나 대학생들의 필독서였으며, 이후로도 중·고등학생들을 위한 추천도서로 자주 선정되고 있으니 말이다.
1996년에는 최인훈의 『광장』과 함께 앞서거니 뒤서거니 100쇄 발행의 주인공이 되었는가 하면 2005년 말에는 200쇄를 넘어섰다. 2000년 7월부터는 문학과지성사에 이어 작가의 아들이 설립한 도서 출판 ‘이성과 힘’을 통해 계속 발행되고 있는 난쏘공은 2007년 8월 15일 227쇄로 999,800부를 찍었으며, 2007년 9월에는 드디어 100만 부를 넘어섰으니 1978년 6월 초판 1쇄가 나온 이후 29년 만의 대사건이었다.대중성에 바탕을 둔 베스트셀러 작품들이 짧은 기간에 발행 부수 100만 부를 넘기는 경우는 더러 있었지만, 순수문학 작품을 담은 책으로 30년 가까운 세월 동안 100만 부를 넘긴 사례는 드문 일로서 문학사에 길이 남을 사건이 되었다.
그리고…… 이후로도 독자들의 관심은 줄지 않아 2024년 2월 150만 부를 돌파했다. 2024년 1월 324쇄 발행에 이어 325쇄 5,000부 발행을 통해 누적 발행 150만 부를 넘어선 것이다. 정리하자면 1996년 100쇄, 2005년 200쇄, 2017년 300쇄를 기록했고, 2024년에도 난쏘공의 스테디셀러 행진은 계속 이어지고 있다.
작가의 흔적과 『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 초판본의 이모저모
작가 조세희는 1942년 경기도 가평에서 태어나 서라벌예대 문예창작과와 경희대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했다. 대학 재학 중인 1965년 《경향신문》 신춘문예에 단편소설 「돛대 없는 장선(葬船)」이 당선되어 등단했으나 이후 작품 활동을 하지 않다가 10년 뒤인 1975년 《문학사상》 12월호에 「칼날」을 발표하며 본격적인 창작 활동을 시작했다. 1976년에 「뫼비우스의 띠」, 「우주여행」, 「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을, 1977년에 「육교 위에서」, 「궤도회전」, 「기계도시」, 「은강 노동가족의 생계비」, 「잘못은 신에게도 있다」를, 1978년에 「에필로그」, 「클라인씨의 병」, 「내 그물로 오는 가시고기」 등으로 이어지는 이른바 난쏘공 연작을 발표하면서 문단의 주목을 받았다.
요컨대, 난쏘공 연작은 근대화·산업화에 매몰되었던 1970년대, 최하층 빈민으로 살아야 했던 난장이, 꼽추, 앉은뱅이로 형상화한 민중들의 핍진한 삶에 관한 이야기다. 멸시와 고된 삶에 지친 난장이 아버지는 개발 논리에 밀려 보금자리를 잃고 쫓겨나 낯선 곳에서 새로운 삶을 꿈꾸지만, 결국 높은 공장 굴뚝에 올라가 차별 없는 별세계를 꿈꾸며 뛰어내리고 마는 장면은 소설 속 허구라기엔 너무나 선연한 당대의 현실이었다. 서울 무허가 빈민촌에서 밀려나 공업도시로 옮겨간 난장이 가족은 열악한 작업환경 속에서 일하며 최저 생계를 꾸려간다.
가족 모두가 아무리 열심히 일해도 생계조차 잇기 어려운 현실의 모순에 눈뜬 큰아들은 노동운동에 뛰어들지만, 기존 제도와 기득권 세력의 견고한 카르텔 앞에 법대로 세상을 고칠 수 없음을 깨닫고 기득권을 향해 살해의 칼날을 휘두른 끝에 사형장의 이슬이 되고 만다.
난장이 아버지가 그토록 자랑스레 여겼던 아들이었건만 사회의 편견과 멸시 앞에서 대를 이어 절망할 수밖에 없었던 암담한 현실이었다고나 할까……. 이처럼 난쏘공 연작은 작품마다 화자(話者)를 바꿔가며 다양한 관점에서 우리 사회의 구조적 문제를 해부하고자 문학적으로 가공된 메스를 들이댄다. 그것이 예리한 칼날임을 감추려는 듯 작가는 유려한 문체를 바탕으로 환상적 스토리나 공공문서 등을 그대로 삽입하기도 한다.
이제 초판본 난쏘공의 이모저모를 살펴보기로 하자. 가로 125mm, 세로 185mm 크기에 본문 341쪽 분량으로 제책된 이 책의 앞표지를 보면 위쪽에 푸른 하늘을 날고 있는 새 한 마리가 그려진 삽화가 왼편으로 치우쳐 있고, 아래쪽에는 단란한 가족을 나타낸 듯한 삽화가 오른편으로 치우쳐 그려져 있는데, 삽화 하단에 낯익은 서명―1978년에 백영수 화백이 그렸음을 나타내는―이 보인다. 그리고 그사이에 '조세희 소설집’이란 활자가 가로글씨 한자(漢字)로 새겨져 있고, ‘난장이가 쏘아올린/작은 공’이란 표제가 두 줄로 자리를 잡고 있다. 그 아래 출판사 이름이 보인다. 뒤표지에는 문학평론가 김병익(金炳翼)과 염무웅(廉武雄)의 평문(評文)이 실려 있다.앞표지를 넘기면 날개에 당시 30대 중반의 작가 초상과 함께 작가 소개 및 첫 창작집 난쏘공의 의미를 요약한 글이 나온다. 면지에 이어 본문 용지와는 다른 고급한 종이에 인쇄한 속표지가 나오는데, 앞표지 활자가 모두 가로쓰기였다면 속표지 활자는 모두 세로쓰기로 새겨져 있다. 그 뒤를 이어 차례가 나온다.표제작 중편 난쏘공은 본문 83쪽부터 151쪽까지 실려 있다. 시작 부분에서 큰아들의 목소리로 "사람들은 아버지를 난장이라고 불렀다. 사람들은 옳게 보았다. 아버지는 난장이였다. 불행하게도 사람들은 아버지를 보는 것 하나만 옳았다. 그 밖의 것들은 하나도 옳지 않았다.”로 시작하여 마지막 부분에서는 여동생 ‘영희’가 아버지를 난장이라고 부르는 사람들은 모두 죽여버려야 한다고 절규하는 장면으로 끝나는 작품이다.
마지막에 게재된 작품 「에필로그」가 끝나고 책의 끝에 있는 간기면(刊記面)을 보면 여러 가지 사실을 알 수 있다. 우선 이 책의 값은 권당 1,300원이었고, 1978년 6월 5일에 인쇄하여 6월 10일에 초판 1쇄 본을 발행했으며, 인쇄처는 민중서관(民衆書館)이었음을 알려준다. 그리고 출판사 '문학과지성사’는 1975년 12월 12일 자로 관계 당국에 등록하였으며, 등록번호는 '12-22’였다는 사실도 보여준다. 그런데 발행인으로 표기된 '정지영(鄭智英)’이란 인물이 낯설다.이래저래 정보를 모아보니 곧 해답이 나왔다. 원래 출판사의 모태가 된 계간 문예지 《문학과 지성》은 1970년 8월에 문학평론가 김병익(金炳翼)·김치수(金治洙)·김현(金炫) 등이 창간했다. 당시 발행인은 한만년(韓萬年), 편집인은 황인철(黃仁喆)이었으며, 출판사 일조각(一潮閣)에서 발행했다. 그러다가 1977년 여름호(통권 제28호)부터 출판사 '문학과지성사’가 독립하면서 이때부터 발행인 겸 편집인으로 '정지영’이 등장하는데, 그는 당시 주간(主幹)을 맡고 있던 '김병익’의 아내였다. 다만, 계간 《문학과 지성》은 1980년 여름호(통권 제40호)를 끝으로 폐간되었다가 1988년 봄부터 《문학과 사회》로 이름을 바꾸어 복간되었다.
조세희 작가, 32년 만에 백영수 화백을 찾아가 사과한 사연
2010년 어느 봄날, 작가 조세희는 긴장한 모습으로 경기도 의정부시 호원동에 있는 원로 화가 백영수(白榮洙, 1922~2018) 선생의 집을 찾아갔다. 두 사람의 만남이 어떠했는지 당시 풍경을 살짝 엿보기로 하자.
“죄송합니다… 미안합니다.”
작가 조세희는 창백하게 굳은 표정으로 사과의 말을 나직이 되뇌었다. 나이가 스무 살 위이고 몸도 불편한 원로화가 백영수를 처음 만난 자리에서 초면에 깊은 사연들을 한꺼번에 꺼내어 대화로 풀기는 어려운 노릇이었다. 이윽고 조세희는 수전증으로 떨리는 손을 움직여 품에서 노트만한 크기의 작은 그림 하나를 꺼내놓았다.
따뜻하면서도 왠지 슬픈 느낌이 다가오는 가족도였다. 새가 날아다니는 동그랗고 푸른 하늘 아래 세 가족이 그려진 화폭. 고개를 옆으로 꺾은 엄마가 자신의 아가를 품에 띄우고 그 옆에 역시 고개를 옆으로 꺾은 좀 더 큰 아이가 함께하는 가족의 도상들이 소담하게 펼쳐져 있었다. 내 그림이 맞구나! 찬찬히 그림을 훑어본 백영수와 그의 부인 김명애 여사의 얼굴에 잔잔한 미소가 번져갔다. 백영수 화가는 어눌하면서도 뿌듯한 목소리로 말했다. "제 그림 잘 쓰셨네요. 앞으로도 잘 간수해주세요. 이제 가까이 지냅시다.”
- 《한겨레신문》 노형석 기자, “‘난쏘공’ 조세희, 32년 만에 표지화가 백영수를 찾아 사과하다”(2023.04.20.)의 일부
1978년 6월 문학과지성사에서 펴낸 조세희 소설집 난쏘공이 출판될 당시 이 책의 장정과 편집을 맡은 이는 오규원(吳圭原, 1941~2007) 시인이었다. 난쏘공의 표지 디자인을 진행하면서 오규원 시인은 이용 허락 절차 없이 백영수 화백의 그림을 표지화로 썼는데, 이것이 훗날 작가에게 크나큰 마음의 짐으로 남게 된다. 당시 기업 사보로 유명했던 화장품 잡지 《향장》의 편집장으로 있었던 오규원은 자신이 받아두었던 그림 중에서 백영수의 작은 삽화를 조세희 첫 소설집 표지화로 정하고는 사실상 무단 도용했던 것이다. 당시로서는 저작권 의식이 정착되지 않았던 탓에 김병익이나 김현 등 출판사를 경영했던 평론가나 편집진도 표지화에 대해서는 별생각 없이 지나갔을 것이고, 그렇게 세월이 흘러 오규원 시인 또한 2007년 세상을 떠나면서 구체적인 진상을 파악할 길이 영영 막히는 듯했다. 이런 허물을 뒤늦게 발견하고 바로잡아야겠다고 결심한 이가 바로 출판계의 원로인 출판사 열화당(悅話堂) 이기웅(李起雄) 대표였다고 한다. 이러저러한 과정을 거쳐 이기웅 대표의 주선으로 작가와 화가가 직접 만나게 된 것이다.
사실 작가는 2000년에 문학과지성사로부터 출판권을 넘겨받아 자기 아들이 운영하는 새로운 출판사에서 개정판 난쏘공을 발행하면서 기존 표지를 버리고 판화가 이철수(李喆守)의 그림과 제호로 책 표지를 바꿨다. 하지만 이미 100쇄 이상 발행한 소설집 난쏘공의 표지에 익숙해진 독자들에게 난장이 가족의 상징처럼 인식되어 온 백영수의 그림은 결국 이기웅 대표 같은 주변 사람들의 권고 덕분에 난쏘공 표지화로 되돌아오게 된다. 다만, 2024년 5월 현재 팔리고 있는 난쏘공 표지는 백영수의 그림이 아닌 공장 건물을 연상케 하는 검은색 건물 그림으로 바뀌어 있다.앞서 인용한 기사에도 나와 있는 것처럼 원래 난쏘공 초판본 표지에 사용된 백영수 화백의 그림은 원본과 달리 하나의 그림이 위아래로 나뉘어 배치되었다. 새가 날아가는 하늘 부분과 가족의 모습이 담긴 부분이 간격을 두고 배치된 다음, 그사이에 제목과 출판사 이름이 들어갔던 것이다. 더구나 이 그림은 나중에 책이 베스트셀러이자 스테디셀러가 되면서 난쏘공의 주인공인 난장이 가족을 상징하는 그림으로 널리 알려지게 됐지만, 당시에는 사전에 화가로부터 이용 허락을 얻지 못한 채 표지에 먼저 이용되었다고 한다.
결국 저작권자인 백영수 화백이 32년 만에 찾아와 용서를 비는 작가에게 오히려 자기 그림을 잘 썼다며 대수롭지 않게 여김으로써 모든 문제가 풀렸지만, 사실관계로만 보면 출판사와 작가는 저작권자의 저작재산권뿐만 아니라 저작인격권(원본을 작위적으로 변경해서 이용했다는 점에서)까지 침해한, 어찌 보면 매우 중대한 저작권 침해 사건이 될 수도 있었다. 그럼에도 극적인 화해가 이루어진 것은 아마도 예술을 사랑하는 두 거장(巨匠)의 만남이 저작권보다 훨씬 큰 의미를 지녔기에 가능한 일이었을 것이다.
난쏘공 초판본 이야기를 끝내면서 이 책의 서두를 장식하는 「뫼비우스의 띠」와 마지막에 실린 「에필로그」를 다시 펼쳐본다. 「뫼비우스의 띠」는 교실로 들어온 수학교사가 학생들에게 던지는, "두 아이가 굴뚝 청소를 했다. 한 아이는 얼굴이 새까맣게 되어 내려왔고, 또 한 아이는 그을음을 전혀 묻히지 않은 깨끗한 얼굴로 내려왔다. 제군은 어느 쪽의 아이가 얼굴을 씻을 것이라고 생각하는가?”라는 질문으로 시작한다.
그리고 「에필로그」에서는 역시 같은 수학교사가 마침내 외계인을 만났다고 하자 "우주인이나 비행접시의 목격 현상은 사회적인 스트레스의 순간에 나타나는 자기 방어의 결과라는 이야기를 들은 적이 있습니다. 선생님의 경우는 저희가 어떻게 이해하면 되겠습니까?”라는 학생의 질문에 다음과 같이 답변하는 것으로 마무리된다. 아마도 작가의 메시지는 이로써 충분하지 않을까. 그러고 보면 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은 여전히 우리 주변에서 통통 튀고 있는지도 모르겠다.
서쪽 하늘이 환해지며 불꽃이 하늘로 치솟으면 내가 우주인과 함께 혹성으로 떠난 것으로 믿어 달라. 긴 설명은 있을 수가 없다. 내가 아직 알 수 없는 것은 떠나는 순간에 무엇을 대하게 될까 하는 것뿐이다. 무엇일까? 공동묘지와 같은 침묵일까? 아닐까? 외치는 것은 언제나 죽은 사람들뿐인가? 시간이 다 되었다. 지구에 살든, 혹성에 살든, 우리의 정신은 언제나 자유이다. 모두 좋은 성적으로 원하는 대학에 합격하기를 빈다. 다른 인사말은 서로 생략하기로 하자.김기태 '처음책방' 설립자
1) 현재의 표준어 규정에 따르면 '난쟁이’가 표준어이지만, 여기서는 초판 발행 당시의 표기를 그대로 따름.
2) 1971년 8월 10일 경기도 광주대단지 주민 수만 명이 정부의 무계획적인 도시정책과 졸속행정에 반발하며 도시를 점거했던 사건. 광주대단지는 서울시의 빈민가 정비 및 철거민 이주 사업의 일환으로 계획된 위성도시로, 지금의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수정구 일대를 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