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서울독립영화제에서 주목할만한 사회비판 영화 3편
입력
수정
[제50회 서울독립영화제 PICK 3]<손> (유현목, 1966)
[서울독립영화제 독립영화 아카이브전] 섹션
(유현목, 1966) / (하길종, 1969) / (서울영화집단, 1982)
<손>은 거장 유현목 감독의 1분짜리 단편영화다. 유현목 감독은 한국전쟁의 상흔과 전후 세대의 방황을 그린 <오발탄> (1961), 일제 강점기를 살아가는 여성의 삶을 통해 근대로의 이행을 그린 <김약국의 딸들>과 같은 (1963) 리얼리스트 영화들로 한국형 리얼리즘을 대표하는 감독으로 기록된다.
다만, 그의 이러한 이력만큼 대중에게 널리 알려지지 않았던 사실은 그가 한국 영화에서 최초로 단편을 제작하고, 영화 운동을 시작했던 인물이라는 점이다. 그는 한국 영화 산업이 막 활성화되기 시작한 1960년대 초부터 ‘시네포엠’(1964)이라는 영화 동인을 결성하고 실험 단편들을 제작했다.
올해 서울독립영화제에서 상영된 작품 <손>은 그가 시네포엠을 통해 제작한 작품으로 캐나다 몬트리올 국제박람회에 초청, 상영되기도 했다. 단체의 이름, ‘시네포엠’, 즉 ‘영화로 쓰는 시’가 명시하듯, <손>은 이미지를 입힌 시에 가깝다. 영화는 신생아의 손에서 시작해 탄약(으로 추정되는 물체)을 쥐고 있는 성인의 손으로 끝을 맺는다.


하길종 감독의 UCLA 졸업 작품이었던 <병사의 제전>은 영화학도들이나 평론가들에게는 이를테면 ‘도시 전설’처럼 떠돌던 영화였다. 보고 싶지만 볼 수 없고, 볼 수 있는 날이 올 것인지조차 확신할 수 없는 전설 같은 존재의 영화다.
2009년에 영상자료원에서 하길종 감독의 회고 상영으로 이 작품이 상영되었을 때도, 영화는 하길종 감독 가족들의 개인 소장품으로 존재했던 필름의 형태로 어렵게 상영이 이루어졌다. 그 이후로도 오랜 시간이 흐른 후에야 <병사의 제전>은 디지털로 복원되어 현대의 관객을 만날 수 있게 되었다.
그렇게 가까스로 영접하게 된 <병사의 제전>은 ‘난감한 영화’였다. 맨 레이의 <발레 메카니크(Ballet Mecanique)>를 연상하게 하는 지극히 초현실적인 이미지와 흐름, 그것에 더해 사운드의 소실까지 영화를 ‘상식적으로’ 이해하기란 불가능하다. 물론 이러한 특성은 초현실주의 영화나 실험영화 장르에선 어쩌면 당연한 성정으로 인식될 수 있으나, 그런데도 하길종의 <병사의 제전>은 직관적으로 해석하기 힘든 작품이다.
이는 전후 미국, 그리고 1970년대의 미국 사회를 정의하는 가장 중요한 키워드로 노예 차림의 주인공은 당시 베트남전의 패배로 인한 미국의 패배주의 혹은 동시대에 폭력으로 잠식당한 한국 사회를 상징하는 장치일 수 있을 것이다. 물론 영화는 이러한 설정 말고도 갖가지 추측을 해야 하는 이미지들과 이야기들로 가득하다. 앞서 이 영화를 ‘난감’하다고 표현한 것은 내러티브를 해석할 수 없는 좌절감을 뜻한 것이 아닌, 많은 것들을 상상하고 사유해야 하는 이 영화의 도전과 실험에 대한 의미심장한 소회였다. 과연 하길종이다. 그의 영화는 이미지와 사운드 소실 여부와 상관없이 여전히 혁명의 기운을 뿜어낸다.
<판놀이 아리랑>은 극단 연우무대의 열 번째 정기공연 작품인 ‘판놀이 아리랑고개’의 공연과 공연 준비 과정, 그리고 분장실에서 배우들의 모습을 기록한 단편 다큐멘터리이다.
특이한 것은 영화의 사운드가 보여지는 이미지에 기반한 사운드가 아닌 공연 이후에 이루어진 인터뷰와 관객 반응을 녹음한 화면 밖 소리라는 점이다. “너무 정치적이라 별로였다”, “사회적인 메시지가 강하다”, “룸펜이 보는 공연이다” 등 관객의 반응은 다양하고도 때로는 실소를 부를 정도로 코믹하다.
올해 서울독립영화제에서는 앞서 언급한 유현목 감독의 <손>, 하길종 감독의 <병사의 제전> 상영에 이어 마지막 차례로 상영이 된다. 세 편 모두 독재정권을 향한 비판과 표현의 자유에 대한 열망을 품었거나, 그것으로 인해 배태된 아티스트들의 프로젝트라는 공통적인 테마를 공유한다.
김효정 영화평론가·아르떼 객원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