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니세프, 도움받던 나라가 도움 주는 나라로…유니세프 한국위원회 '보은의 30년'
입력
수정
지면C3
한강의 기적, 아시아의 네마리용으로 1990년대 경제 신화를 이뤘던 한국이 1994년 유니세프(UNICEF·유엔아동기금) 한국위원회를 설립했을 때 세상은 깜짝 놀랐다. 도움을 받던 나라가 공여국이 된 사례는 유니세프 역사상 한국위원회가 최초이자 유일했기 때문. 유니세프 한국위원회에 따르면 한국은 가장 많은 후원자 수를 보유한 나라이기도 하다.
유니세프는 유엔아동권리협약에 아동권리 증진에 대한 역할이 명시적으로 언급된 유일한 기관이다. 전 세계 어린이를 위해 보건, 영양, 식수·위생, 교육, 보호, 긴급구호 등의 사업을 펼치는 유엔의 산하기구다. 현재 158개국에 국가사무소와 33개 선진국에 국가위원회를 두고 있다. 올해 설립 30주년을 맞이한 유니세프 한국위원회는 이러한 유니세프를 한국에서 대표하는 기관으로, 전 세계 어린이들을 위한 기금을 모금하고 유니세프아동친화사회 만들기 사업 등을 통해 국내 어린이 권리를 증진하는데 주력하고 있다.한국은 1948년부터 약 318억5000만원의 유니세프 구호를 받았다. 유니세프는 1950년 한국전쟁이 발발한 이후 1962년까지 담요, 식량, 의류를 지원했고 1976년까지 한국인의 건강 상태와 수도 설비기사에 대한 훈련을 지원하기도 했다. 1986년까지는 어린이 교육 자료 제작, 탁아사업 등 조기 아동교육에도 힘써왔다. 유니세프 한국위원회는 1993년 주한 유니세프 대표부가 한국에서 철수한 이듬해 들어섰으며 지금까지 세계 어린이를 위한 지원금은 1조5923억원에 이른다.
유니세프 한국위원회는 국내 아동권리에 대한 인식이 낮았던 1990년대부터 꾸준한 활동을 선도해왔다. 30년 동안 어린이가 사회의 주요 주체가 될 수 있도록 어린이 수영대회, 그림그리기 대회, 걷기 대회 등 다양한 행사를 진행하고 세미나와 캠프 등을 열어 아동권리 인식 제고를 위해 노력했다.2013년부터는 ‘유니세프 아동친화사회’ 만들기 사업으로 지역사회, 학교, 기업 등과 함께 어린이를 둘러싼 환경이 아동친화적으로 변모하도록 캠페인도 진행했다. 사업 첫해 서울 성북구를 시작으로 현재 98개 지자체가 아동친화도시 인증을 받았으며 30개(12월 16일 기준) 지자체가 인증을 추진 중이다.
지난 13일에는 아동에게 긍정적 영향을 미친 도시와 학교 정책 및 사례를 발굴해 시상하는 ‘유니세프 어워즈’를 개최했다. 전국 지자체 38곳과 2개교 등 총 124개 팀이 참여한 이번 어워즈에 대상 1팀과 5개 부문별 (조례 및 정책 부문, 아동 참여 부문, 아동권리교육 부문, 행정서비스 부문, 아동친화공가 부문) 최우수상 5팀을 선정됐다. 대상을 받은 서울 송파구는 디지털 성범죄 예방 및 피해지원 조례 신설, 서울 자치구 최초 ‘어린이집·유치원 원어민 영어교실 운영’등 아동을 위한 정책과 사업이 높은 평가를 받았다.
유니세프 한국위원회는 국내 아동권리 옹호 활동과 더불어 전쟁, 지진, 홍수, 기근 등 다양한 어려움에 놓인 지구촌 어린이를 위해 도움의 손길을 꾸준히 내밀고 있다. 긴급 구호 현장에 가장 먼저 들어갔다가 가장 마지막으로 떠나는 유니세프의 활동을 의미하는 ‘퍼스트 인 라스트 아웃(First In Last Out)’ 캠페인도 진행 중이다.‘생명을 구하는 선물’ 캠페인도 지난 16일부터 시작했다. ‘생명을 구하는 선물’은 기부자가 직접 영양, 식수위생, 교육으로 구성된 구호품 중 전달되길 희망하는 품목을 선택하고, 유니세프 물류센터가 그 구호품이 필요한 어린이에게 배송되는 캠페인이다. 조미진 유니세프 한국위원회 사무총장은 “75년전 우리가 받았던 조건없는 선의와 같이, 앞으로도 후원자, 기업, 기관 등 다양한 협력자들과 함께 세계 어린이들을 향한 온정의 손길을 전하겠다”고 말했다.
이해원 기자 umi@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