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단기국채, 年1%금리 '붕괴'…일본식 장기불황 우려 커졌다
입력
수정
지면A12
中국채 금리,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최저치중국의 1년 만기 국채 수익률이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 수준을 밑도는 영역까지 떨어지며 20여 년 만의 최저치를 기록했다. 중국 경기 회복에 대한 회의적 전망에 투자 자금이 안전 자산으로 몰렸고, 중국 정부의 완화적 통화정책에 대한 기대가 더해지며 채권 수요가 급증한 영향이다. 중국의 경제 둔화 가능성을 반영하는 10년 만기 금리도 사상 최저치를 찍었다.
안전자산 채권에 투자자 몰리고
기업투자 감소로 대출은 줄어
10년만기 국채금리 年2% 아래로
中, 내년 추가 금리인하 가능성
단기 재정·통화정책 효과 의문
"90년대 日과 똑같아" 지적도
○연 1% 선 무너진 1년 만기 금리
지난 9일 급락하기 시작한 중국 1년 만기 국채 금리는 23일 오후 2시께 연 0.846%를 나타내며 2009년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다. 20일 처음으로 연 1% 선이 무너진 후 이날도 하락세를 이어갔다. 이날 중국 중앙은행 인민은행이 기준금리 격인 대출우대금리(LPR) 동결을 발표하며 내년 추가 금리 인하 전망에 힘이 실렸기 때문이다.중국 내 수요가 부진할 것이라는 우려가 커지면서 중앙은행이 추가로 통화정책을 완화할 것이라는 기대가 높아졌다. 블룸버그통신은 “1년 만기 국채 금리는 심리적 장벽인 연 1%가 무너졌다”며 “10년 만기 국채 금리도 내림세를 이어가 이달 금리가 하락 마감하지 않은 날은 단 4일에 불과했다”고 전했다.
이날 중국 10년 만기 국채 금리는 장 초반 연 1.676%까지 떨어지며 사상 최저 수준을 경신했다. 오후 2시께에는 연 1.694%를 기록했다. 10년 만기 금리는 올해 2%대 초중반을 유지하다가 이달 2일 사상 처음 연 2% 선이 무너졌고 이달 들어서만 0.36%포인트 급락했다.
○내수 부진…기업 투자도 얼어붙어
10년 만기 등 장기 국채 금리 추락은 중장기 경기 둔화 가능성을 나타낸다. 16일 발표된 중국의 11월 소매 판매는 3개월 만에 가장 낮은 3% 증가율을 기록해 시장 예상치(4.6%)에 크게 미치지 못했다. 11월 수입 역시 전년 동월 대비 3.9% 줄어들어 예상치를 밑돌며 국내 수요 감소에 대한 불안이 고조됐다. 기업도 신규 투자를 줄이고 있다. iM증권에 따르면 지난달 기업의 요구불예금이 포함된 본원통화(M1)는 전년 동월보다 3.7% 줄었다. 4월부터 8개월째 하락세를 지속하고 있다.블룸버그에 따르면 스탠다드차타드, 톈펑증권, 저상증권 등은 현재 연 1.7%인 10년 만기 국채 금리가 연 1.5~1.6%로 하락할 것이라고 전망한다. 요해나 추아 씨티그룹 신흥시장 책임자는 “디플레이션(경기 침체 속 물가 하락) 압력이 지속된다면 조만간 제로 금리로 전환한 가능성도 있다”고 말했다.
○침체 길 걷는 중국
국채 금리가 고꾸라지면서 중국이 ‘일본식 침체’에 빠질 것이라는 우려가 확산하고 있다. 일본이 부동산 거품 붕괴 이후 겪은 침체가 중국에도 반복될 수 있다는 것이다. 블룸버그는 20일 “중국의 장기 채권 금리가 지난달 말 일본의 장기 채권 금리를 처음으로 밑돌았다”며 “중국이 ‘일본화’될 가능성에 대한 투자자의 우려가 반영됐다”고 설명했다.중국 재정정책과 통화정책으로는 디플레이션 고착화를 막기 힘들다는 분석도 나온다. 시장에서는 중국 정부가 올해 목표 성장률인 5%를 달성하기 위해 내놓은 일련의 경기 부양책이 효과가 크지 않다는 평가를 내렸다. 중국 공공 부채는 1990년대 일본 정부의 부채 수준보다 높고 일본보다 빨리 고령화에 접어들었으며, 과거보다 심해진 글로벌 지정학 갈등은 제조업 중심인 중국 경제에 타격을 주기 때문이다.미국 경제지 포브스의 윌리엄 페섹 선임칼럼니스트는 “중국 정부는 약한 가계 수요를 단기적 자극책과 낮은 채권 금리로 해결하려 한다”며 “이는 일본이 1990년대 부실 금융위기에 대응한 방식과 정확히 일치하고, 일본은 오늘날까지 그 여파를 겪고 있다”고 지적했다. 또 “고령층은 20~30대처럼 소비하지 않기 때문에 고령화된 인구는 본질적으로 디플레이션을 초래한다”며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이 촉발할 것으로 예상되는 무역 전쟁은 중국 국내총생산(GDP)을 위축시키고 디플레이션을 심화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한경제 기자 hankyu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