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尹 계엄' 터지자 네이버로 몰렸다…트래픽 폭증, 카카오는?

12·3 비상계엄 직후 네카오 접속 장애
이정헌 의원 "트래픽 13배 이상 폭증"
사진=네이버 카페 캡처
12·3 비상계엄 선포 직후 네이버·다음 등 주요 포털 사이트에서 접속 장애가 발생했다. 당시 접속 장애는 급증하는 트래픽을 감당하지 못해 발생한 것으로 파악됐다. 특히 계엄 사태 직후 네이버의 트래픽은 평소보다 1320% 폭증했다.

24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소속 이정헌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공개한 ‘비상계엄 당시 주요 포털 사이트 서비스 장애 현황’ 자료에 따르면 네이버 뉴스는 윤석열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 7분 뒤인 오후 10시35분부터 장애가 발생했다. 10시54분부터는 네이버 카페(모바일) 장애가 시작됐다.이에 네이버 측은 전면 장애를 막기 위해 댓글 작성과 공감 기능을 잠시 중단했는데 이에 이용자 사이에서는 "계엄 계획의 일부가 아니냐", "여론 결집을 막으려 뉴스 댓글 서비스를 중단했다"는 등 정부의 여론 통제가 시작됐다는 음모론이 돌기도 했다.
사진=연합뉴스
그러나 이 의원 측은 "네이버 뉴스의 계엄 당일 트래픽은 평소 최고치 대비 1320%, 카페 트래픽은 450% 수준으로 급증했다"며 "포털 서비스 장애는 순식간에 폭증한 트래픽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같은 날 11시22분부터는 카카오 다음 카페도 접속이 지연됐다. 카카오 측은 서비스 장애가 카페에만 한정됐다고 설명했으나 이용자들 사이에서는 다음 뉴스 댓글 서비스도 마비됐다는 증언이 나왔다. 이에 카카오도 긴급 서버와 인력을 투입해 접속 지연을 해소했다.네이버와 카카오 등 포털 서비스는 4일 오전 1시16분 완전히 정상화됐다.

네이버는 일부 기능을 중단하는 조치가 불가피했다는 입장이다. 당시 서비스 일부 기능의 부하가 전체 데이터베이스(DB)로 전이되는 상황이었는데 이를 막기 위해서는 일단 해당 기능을 중단한 뒤 DB 부하 해소를 통해 서비스를 복구할 수밖에 없었다는 것이다.

카카오는 “순간적인 트래픽 증가에 따른 지연이 발생했다”면서 당시 상황에 대한 자세한 설명을 내놓지 않았다. 트래픽 증가 이유에 대해서도 “기업의 경영·보안상 기밀로 공개가 어렵다”는 입장을 밝혔다.이 의원은 "우리 사회의 공론장으로서 기능하는 국내 포털이 계엄으로 일시 정지된 중대한 사안"이라며 "주무 부처인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포털 기업은 책임 있고 투명한 설명으로 국민 불안을 해소할 책무가 있다"고 꼬집었다.

유지희 한경닷컴 기자 keephe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