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동현 과장 "AI시대엔 경제 성장에도 임금 깎일 수 있어"
입력
수정
지면A33
한국은행 고용분석팀 서동현 과장“인공지능(AI) 특이점에 도달하면 국내총생산(GDP)이 연 20% 성장하지만 임금과 고용률은 급락할 수 있습니다.”
AI와 노동의 관계 경제학적 분석
"노동력 없는 경제성장 가능해
직원 없는 1인 기업 늘어날 수도"
AI 경제학계 거물인 안톤 코리넥 버지니아대 교수와 함께 ‘일반 인공지능(AGI) 전환의 시나리오’ 논문을 공동 집필한 서동현 과장(34·사진)은 AI 시대 노동시장의 미래를 이같이 전망했다. 한국은행 조사국 고용분석팀에서 근무 중인 서 과장은 한국 경제학계에서 AI의 미래를 연구하는 기대주로 꼽힌다. 지난 24일 서울 남대문로 한국은행 별관에서 만난 그는 AI 과학과 경제학의 경계를 넘나들며 AI가 가져올 인간 사회의 변화를 예견했다.서 과장은 논문을 쓰게 된 경위에 대해 “‘가까운 미래에 AI가 인간을 대체한다’와 ‘30년이 지나도 그렇게 안 된다’는 의견이 분분한데 그 핵심을 보여주고 싶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논쟁의 핵심은 인간 두뇌의 한계가 어디까지인가, 즉 AI가 아무리 발전하더라도 인간을 뛰어넘을 수 없는 일이 남아있을지에 대한 것”이라고 짚었다.
서 과장은 “AI가 특이점에 도달하기 전까지 임금 상승률은 계속 높아질 것”이라고 말했다. 이는 인간이 하던 중요하지 않은 업무를 자동화하면서 생산성은 증가하고, 이 같은 생산성 증가가 노동 대체 효과보다 크기 때문이다. 그러면서 그는 “어떤 임계점을 넘어서면 AI가 할 수 있는 일이 너무 많아지고, 적은 일에 너무 많은 사람이 몰려 노동 공급 과잉 상태가 되고, 노동의 가치가 떨어지는 상황이 온다”고 부연했다. 노동자 10명이 하던 일의 80%를 자동화된 AI가 하고 나머지 2명 몫에 노동자들이 달려드는 상황이다.
서 과장은 “현재는 일과 소비가 밀접하게 연관돼 일자리 상실이 무섭게 느껴질 수 있겠지만 인간의 노동이 필요하지 않을 뿐 경제는 엄청나게 빠르게 성장한다”고 설명했다.다만 서 과장은 “AI가 발전해 아무리 많은 복잡한 일을 할 수 있게 되더라도 사람만이 할 수 있는 고유 영역이 남아 있을 경우는 얘기가 다르다”고 강조했다. 그는 “고도의 전문성이 필요한 직업, 예를 들어 세밀한 수작업이 필요하거나 오랜 경험을 통해서만 할 수 있는 기술은 대체가 어려울 수 있다”며 “판사, 상담사, 종교인 등은 AI가 대체할 수 있더라도 사람들이 자동화를 거부할 수 있다”고 평가했다. AI에 대체되지 않는 직업이 충분히 많다면 임금도 꾸준히 오를 수 있을 것이라는 게 서 과장 예측이다.
한국이 자동화에 따른 급성장의 과실을 맛볼지, 혹은 지금의 일자리를 유지할지는 사회적 선택에 달린 문제라고 서 과장은 내다봤다. 그는 “사회가 AI를 도입하지 않을 경우 성장률이 떨어지는 대신 임금 성장률은 높아질 수 있고, 반대 경우도 가능하다”고 했다. 그러면서 “포트폴리오를 분산하듯 정부 차원에서도 다양한 시나리오에 대비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서 과장은 한국 고령화와 노동인구 감소의 대안으로 AI를 염두에 둬야 한다고 제언했다. 서 과장은 “수년 안에 AI 발전을 통해 중·단기적으로 경제성장률 하락 효과를 상쇄할 수 있다”며 “인구 감소 효과가 큰 직업은 AI를 적극 도입할 수 있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AI 시대에는 주어진 업무만 하는 인력은 AI와 경쟁하게 될 가능성이 높다”며 “뛰어난 한 명의 사업가가 AI를 통해 성과를 내는 1인 기업이 늘어날 것”이라고 설명했다.
김인엽/사진=이솔 기자 insid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