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시티·SMR로 사업 확장해야"

정부·금융 해외건설 원팀 필요
내년 우크라·중동서 수주 기회
해외건설 수주는 경기 침체 우려가 커지는 국내 주택시장 부진을 타개할 탈출구로 꼽힌다. 전문가들은 이런 해외 수주를 활성화하기 위해선 정부가 정부 간(G2G) 협력을 통해 수주 마중물 역할을 해야 한다고 입을 모은다. 기존 도급 위주의 수주에서 벗어나 스마트시티, 소형모듈원전(SMR) 등 신규 분야로 사업을 확장해야 한다는 조언이다.

해외투자개발형 사업(PPP) 방식이 각광받는 대표적 사업 분야다. PPP 방식은 사업 시행자가 기획과 개발, 금융 조달, 운영, 관리 등 전반을 맡는 고부가가치 사업이다. 또 건설사뿐 아니라 정부, 금융 등이 ‘원팀’을 이루는 게 중요하다. 국토교통부는 2030년까지 ‘PPP 100억달러 수주’를 목표로 지원하고 있다.손태홍 한국건설산업연구원 실장은 “정부가 G2G 차원에서 사업 기획 단계부터 현지 정부와 협력해야 한다”며 “PPP 방식은 대부분 개발도상국에서 진행되는 만큼 위험 국가의 리스크를 분산하는 방안 등을 고안해야 한다”고 말했다. 해외건설 수주 역량이 높은 대형 건설사보다 정보, 경험 등이 부족한 중소 건설사에 대한 지원이 필요하다는 설명이다.

내년 해외 시장은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중동 지역의 군사적 갈등 등 지정학적 리스크가 크지만 여전히 기회 요인이 많은 것으로 관측된다. 한 건설사 관계자는 “국제 유가가 배럴당 70달러 선을 유지하는 점도 ‘수주 텃밭’인 중동 지역에서의 추가 성과를 기대하게 한다”고 말했다. 국내 기업은 유럽, 미국 등 선진 시장에서도 수주할 수 있을 정도로 기술 경쟁력을 갖췄다는 평가를 받는다.

해외건설 분야 관계자는 “내년 체코 원전 본계약이 체결되면 국내 건설사가 유럽 시장에서 수주 저변을 넓히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며 “우크라이나 종전 이후 복구사업 수요도 큰 기회”라고 말했다. 해외건설협회는 내년 자체적으로 ‘융복합 K시티 플랫폼’ 구축해 건설뿐 아니라 문화, 정보기술(IT) 등의 정보를 체계적으로 제공해 융복합 수주를 지원할 계획이다.

심은지 기자 summit@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