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극초음속 IRBM 성공"…軍은 평가절하

北 "음속 12배 속도로 비행"

변칙비행에 탐지·추적 어려워
한·미 방어망 겨냥 위력 과시

北 "2차 정점고도 도달 성공
탄소섬유 신소재 사용" 주장
합참 "北 기만 가능성에 무게"
< 김정은, 딸 주애와 시험발사 참관 > 조선중앙통신은 7일 북한이 전날 신형 극초음속 중장거리 탄도미사일(IRBM) 시험 발사에 성공했다고 밝혔다. IRBM 발사 장면(왼쪽 사진)을 김정은 국무위원장(가운데)과 딸 주애(왼쪽)가 화상으로 참관하고 있다.(오른쪽 사진) 조선중앙통신/연합뉴스
북한이 지난 6일 신형 극초음속 중장거리 탄도미사일(IRBM) 시험 발사에 성공했다고 7일 발표했다. 하지만 우리 군은 북한이 밝힌 정점고도 등의 ‘기만’ 가능성에 무게를 두며 상반된 평가를 내놨다. 전문가들은 북한의 발표가 과장됐을 수 있지만 변칙 기동으로 현대 미사일 방어체계를 무너뜨릴 수 있는 극초음속 미사일 특성상 북한의 개발 동향을 예의주시해야 한다고 평가했다.

조선중앙통신은 7일 “북한 미사일총국은 1월 6일 신형 극초음속 중장거리 탄도미사일 시험 발사를 성공적으로 진행했다”고 보도했다. 통신에 따르면 이번 미사일의 극초음속 활공비행 전투부(탄두)는 음속의 12배(마하 12) 속도로 1차 정점고도 99.8㎞, 2차 정점고도 42.5㎞를 기록했다. 또 미사일이 예정된 비행 궤도를 따라 비행해 1500㎞ 계선의 공해상 목표 가상수역에 정확히 탄착됐다고 전했다. 통신은 특히 이번 신형 IRBM에 대해 “새로운 탄소섬유복합재료가 사용됐고, 비행 및 유도조종체계에도 이미 축적된 기술들에 토대한 새로운 종합적이며 효과적인 방식이 도입됐다”고 발사 성공을 치켜세웠다.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 역시 시험 발사 결과에 만족감을 표시했다. 김정은은 “그 어떤 조밀한 방어장벽도 효과적으로 뚫고 상대에게 심대한 군사적 타격을 가할 수 있다”며 “마땅히 자부해야 할 자위력 강화에서의 뚜렷한 성과이며 하나의 특대 사변”이라고 자평했다. 김정은은 딸 주애와 함께 화상감시체계로 미사일 발사 모습을 참관했다.

이날 북한이 공개한 발사 사진을 보면 미사일은 지난해 4월 북한이 시험 발사한 극초음속 미사일 ‘화성-16나형’과 같은 기종으로 추정된다. 통상 극초음속 미사일은 1·2단 추진체의 추력을 바탕으로 1차 정점고도까지 상승 후 낙하하다가 물수제비가 튀듯이 재도약해 2차 정점고도에 이른다. 이후 다시 대기권 이하 고도에서 타격 목표지점까지 날아가는 변칙 궤도로 비행한다. 북한의 주장만 보면 이번 발사는 기존 시험과 비교해 미사일의 정점고도를 낮추고 속도를 높인 성능 개량 시험이란 결론이다.

하지만 합동참모본부는 이날 브리핑에서 “북한이 주장하는 비행거리와 2차 정점고도 등은 기만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하고 있다”고 발표했다. 지난해 4월 발사 때와 같이 1차 정점고도에 올랐지만, 2차 정점고도는 전혀 없었다는 분석이다.군은 북한이 미사일에 ‘탄소섬유복합재료’를 적용했다는 발표도 “기본적으로 북한은 국가에 선전·선동부를 두고 있을 만큼 선전·선동, 기만에 능한 조직”이라며 과장 가능성이 높다고 내다봤다. 마하 5 이상의 속력을 내는 극초음속 미사일은 탄두부의 활강비행체(HGV)가 재도약 뒤 섭씨 2000도에 달하는 공기 마찰열을 견뎌야 하기 때문에 신소재를 적용하는 게 핵심 기술이다.

다만 북한이 극초음속 미사일 기술을 계속 고도화할 것으로 예상돼 경계를 늦출 수 없다는 평가다. 극초음속 미사일은 일정한 궤도를 그리는 탄도미사일과 달리 탄착지점을 예측하기가 쉽지 않다. 고도 50㎞ 이내의 낮은 고도에서 비행해 레이더로 탐지·추적도 어렵다. 국회 국방위원회 소속 유용원 국민의힘 의원은 “북한은 주일미군이나 괌 미군기지의 탄도탄 방어망 돌파를 위해 극초음속 비행체의 저고도 활강 도약, 선회 비행 능력 향상을 위한 발사 시험을 지속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김동현 기자 3cod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