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최대 호재는 철도"…지자체 유치전 '치열'
입력
수정
지면A23
부동산 프리즘
하반기 5차 철도망계획 고시
GTX-D·E·F 등 반영여부 관심
우선순위 놓고 지역 내 갈등도

20일 정부와 업계에 따르면 국토교통부는 올해 하반기 ‘제5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을 고시할 예정이다. 5년 주기 및 10년 단위로 발표하는 철도 분야 최상위 법정계획이다. 이번엔 2026~2035년 추진할 사업을 선정한다. 각 지자체에서 내놓은 ‘희망 사업’ 규모는 예산 한도의 6~7배 수준인 것으로 알려졌다.
업계 관계자는 “정부가 명시적으로 추진 의사를 밝힌 GTX-D·E·F는 5차 철도망 반영이 유력하다”며 “그 외 사업은 경제성, 지역 균형 발전 등 여러 지표에 따라 치열한 경쟁이 불가피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지방도 팔을 걷어붙였다. 강원도는 춘천원주선 신설, 태백영동선 개량 등 10개 사업을 5차 철도망 구축계획에 반영해 달라고 국토부에 건의할 방침이다. 다른 지역에서도 대구경북신공항 급행순환철도, 거제~부산 가덕도신공항 연결철도, 광주~화순 광역철도망 등 광역지자체별로 10여 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철도업계 관계자는 “지자체 차원의 철도망 계획은 국가철도망 구축계획과 비교할 때 실현 가능성 측면에서 훨씬 떨어지는 경향이 있다”며 “철도 건설 프로젝트는 통상 철도망 계획 반영, 예비타당성조사 통과, 착공 등 중간 단계별로 교통 호재가 부각되는 만큼 올해 5차 철도망 계획에 반영되는 프로젝트 인근 지역 부동산은 크게 오를 수 있다”고 내다봤다.
앞서 4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에선 총 58조8000억원 규모의 44개 프로젝트가 신규 사업으로 반영됐다. 수도권에선 별내선 연장, 송파하남선(3호선 연장), 강동하남남양주선(9호선 연장), 위례과천선, 고양은평선 등이 포함됐다. 강동하남남양주선은 지난달 기본계획이 승인됐는데, 서울 강동구와 경기 하남 등의 일부 아파트는 벌써 가격에 교통 호재가 반영되고 있다.
이인혁 기자 twopeopl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