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파원칼럼] '우리만의 잔치'로 끝난 CES
입력
수정
지면A30
송영찬 실리콘밸리 특파원

CES를 찾는 한국 스타트업은 해외 판로 개척과 해외 투자 유치 기회를 모색하겠다는 포부로 라스베이거스행 비행기에 오른다. 한국에서는 만나기 어려운 현지 투자사와 빅테크 관계자를 최대한 많이 만날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에 부푼다. 이들은 나흘간의 행사 기간에 조금이라도 더 많은 기회를 만들기 위해 만나는 사람들에게 열정적으로 자신의 기업을 소개한다.
지자체 홍보에 치중한 한국관
하지만 현장에서는 CES가 ‘한국인만의 잔치’ 같다는 자조가 심심찮게 들려왔다. 한국관에서 가장 눈에 띈 건 혁신 기술을 선보인 스타트업의 이름이 아니라 지자체 ‘간판’이었다. 지자체 부스는 시·도 광역단체를 넘어 구(區) 단위의 기초단체까지 난립했다. 부스를 차린 목적이 지역을 홍보하기 위해서인지 관내 기업을 후원하기 위해서인지 분간이 안 갈 정도였다.어김없이 해당 부스 앞은 여러 수행 인원을 거느린 지자체장과 정치인들로 북적였다. 부스를 순시하듯 돌아다니다가 사진을 찍고 떠나는 그들의 모습은 볼썽사납기 그지없었다. 해외 진출의 꿈을 안은 스타트업이 각 지자체의 치적 쌓기에 활용되는 건 아닌지 우려스러웠다.
정부와 지자체가 CES에 혈세를 들여 부스를 차리도록 한 것은 세계 무대에 도전하려는 기업을 뒤에서 묵묵히 지원해주라는 목적에서다. 하지만 한국관의 모습은 애초 취지와는 너무도 달랐다. 한국관을 다시 지역별로 나눈 것만 해도 주객전도의 전형적인 사례다. 한 스타트업 관계자는 “해외 투자자들이 한국의 지역명을 어떻게 구분하고 찾아오라고 하는 것인지 도무지 이해가 안 된다”고 했다. 한국의 첨단 기술을 제대로 홍보하겠다는 목적이라면 인공지능(AI)·모빌리티 등 각 스타트업의 전문 분야 중심으로 한국관을 구성했어야 한다.
주객전도도 적당해야
연례행사처럼 CES를 찾는 정치인과 지자체장들의 태도도 바뀔 필요가 있다. 사진 찍기에 열중하기보다는 어떻게 하면 CES 같은 대규모 컨벤션 행사를 관내에 유치할 수 있을지 답을 찾는 데 노력하면 어떨까. CES 2025엔 세계 160여 개국에서 14만 명이 넘는 사람이 찾았다. 국내 기업인들도 CES 기간에 맞춰 라스베이거스행 직항 전세편 티켓을 구하느라 동분서주한다. 표를 구하지 못해 로스앤젤레스(LA) 공항까지 5~6시간을 버스로 이동하는 이들도 부지기수다.이 많은 사람이 나흘간 라스베이거스에서 쓴 돈은 상상을 초월한다. 정치인들도 마찬가지다. CES를 글로벌 기술 전쟁의 현장으로 인식한 정치인은 과연 얼마나 됐을까 궁금하다. 행사 마지막 날 미국의 한 벤처캐피털(VC) 관계자를 만났다. “기술이 아무리 좋다고 해도 한국어만 들리는 부스에 글로벌 VC가 방문할까요?” 비아냥 섞인 그의 충고가 라스베이거스를 떠날 때까지 내내 머릿속을 맴돌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