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혈압에 좋다" 중국서 소문나더니…'금값' 2배로 폭등
입력
수정
中 비만·고혈압 증가가 담석 인기 불러와
'우황청심환'으로 가공돼 뇌졸중 치료 효과도
고품질 사료·짧아진 사육 기간 희소성도 높아져
브라질서 '담석 사냥' 본격화…밀수·강도 속출

美에 위고비가 있다면…中에는 '소 담석'
19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소 담석은 남미 일대에서 최근 온스당 최대 5800달러(약 830만원)에 거래되고 있다. 금값(온즈당 2700달러 안팎)의 약 두 배에 해당하는 가격이다.중국 전통 의학에서 담석은 중풍(뇌졸중) 치료를 비롯해 고혈압, 비만, 심혈관 질환 등 질병 치료에도 사용된다. 최근 중국인의 식습관이 서구화되면서 관련 질환이 급증하자 담석 수요 또한 폭발적으로 늘어났다. 미국에서 비만 증가로 인해 '위고비' 수요가 폭증한 것처럼, 중국에서는 담석이 큰 인기를 얻고 있는 것이다.담석은 소, 산양, 영양 등 반추동물의 담낭에서 형성되는 물질로, 적혈구가 분해되면서 생성되는 빌리루빈 화합물이 축적될 때 만들어진다. 일반적으로 체외로 배출되는 이 물질이 축적되면 담석이 형성되며, 이는 동물이나 사람에게 치명적일 수 있다. 하지만 담석은 약품으로 가공되면 치료 효과를 발휘한다.
수확된 담석은 세척 후 몇 주간 건조돼 분말 형태로 가공된다. 이 분말은 무소뿔 가루나 천연 비소 성분의 광물과 혼합돼 중국과 한국 등 아시아권에서 흔히 복용하는 '우황청심환'이라는 약으로 제조된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우황청심환은 뇌졸중 환자의 뇌 손상을 약 30분 지연시켜 응급 처치 시간을 벌어줄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많은 중국 가정에서 응급 상황에 대비해 이 약을 비축하고 있다.세계보건기구(WHO)에 따르면 중국 전통 의학 산업은 갈수록 성장해 현재 연간 600억달러(약 85조7400억원) 규모에 이르고 있다. 중국 정부와 국영 언론은 전통 의학을 적극 장려하며, 이를 세계에 알리는 데 힘쓰고 있다. 아랍에미리트, 스페인, 모리셔스 등 여러 국가에 전통 의료 클리닉을 설립해 현지인들에게 중국 전통 의학을 소개하고 있으며, 지난달에는 일대일로 이니셔티브에 참여하는 국가에 파견할 약 1300명의 전통 의료 인력을 양성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소보다 비싼 담석에…브라질선 '담석 찾기' 열풍
소 담석에 대한 폭발적인 수요는 세계 최대 소고기 수출국인 브라질에서 '담석 찾기' 열풍을 일으켰다. 2023년 기준 홍콩으로의 브라질산 담석 수출 규모는 2억1840만달러(약 3153억원)로, 2019년 대비 약 3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담석 수출로는 브라질이 세계 1위를 차지하고 있다. WSJ는 브라질 도축장에서 일하는 작업자들은 발견한 담석 한 알로 월급을 뛰어넘는 수입을 올리기도 한다고 전했다.브라질에서 수집된 담석은 홍콩, 상하이, 베이징 등 아시아 시장으로 유통된다. 브라질산 담석은 품질에 따라 온스당 1700~4000달러(약 245~577만원)에 거래된다. 일부 고품질 담석은 소 한 마리보다 더 높은 가치를 지닌다. 소 담석의 높은 가치는 브라질을 포함한 남미 지역에서 불법 도축, 절도, 강도 사건을 유발하고 있다. 브라질 남부 바레토스 지역에서는 무장 갱단이 농가를 침입해 담석을 강탈하는 사건이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 지난해 우루과이에서는 약 300만달러(약 43억원) 규모의 담석을 탈취해 홍콩으로 밀수하려던 일당이 체포되기도 했다.
일부 농장주들은 소에게 사탕수수 같은 사료를 먹여 담석증을 유발하려는 시도를 하기도 한다고 WSJ는 전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이 실제로 담석 형성을 촉진할 수 있는지는 과학적으로 입증되지 않았다. 전문가들은 농부들에게 담석 찾기에만 몰두하기보다 고품질 소고기와 우유 생산에 집중할 것을 권고하고 있다.
고령화와 심혈관 질환 증가로 담석 수요는 지속적으로 늘고 있는 반면, 소 사육 시스템의 선진화와 고품질 사료 사용으로 소의 수명은 길어졌다. 이는 담석이 형성될 기회를 줄어들게 해 담석의 희소성은 높아지고 가격은 더욱 치솟을 전망이다.
임다연 기자 all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