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에 살걸 그랬나 봐요"…전기차 사려다 후회한 까닭 [1분뉴스]
입력
수정
지난해 대비 전체적으로 보조금 축소
1회 충전 거리 기준 등은 강화
보조금 전액 지급 차량 가격 하향
제조사 가격 경쟁 유도
![](https://img.hankyung.com/photo/202501/AA.39280574.1.jpg)
전기차 보조금 축소...강화된 기준
30일 업계에 따르면 올해 정부 전기차 보조금이 지난해 대비 삭감됐다. 전체 전기차 보조금 예산이 줄어들면서다. 여기에 보조금 지급 시 주행 거리에 따른 성능 기준이나, 배터리 관리 시스템(BMS) 여부 등 인천 청라 아파트 지하 주차장 벤츠 EQE 화재 이후 불거진 소비자들의 불안감을 반영해 배터리 안전 기준도 강화했다.
올해 국비 보조금 최대치를 받는 모델은 기아 더 뉴 EV6 롱레인지 2WD 19인치로, 580만원을 받는다. 다만 이는 지난해 630만원 대비 8%(50만원) 줄어든 수준이다. 현대차 아이오닉6는 올해 526만~575만원의 보조금을 받게 됐다. 지난해 727만~746만원을 받던 것과는 대조적이다. 더 뉴 아이오닉5는 지난해 611만~650만원에서 올해 493만~577만원을 지원받게 됐다.리튬인산철(LFP) 배터리를 단 전기차들의 보조금이 지난해 대비 대폭 삭감됐다. 1회 충전 시 주행거리 기준이 지난해보다 강화된 데다, 배터리 재활용 가치나 효율성 측면에서 낮은 점수를 받았기 때문이다. LFP 배터리는 니켈·코발트·망간(NCM) 배터리 대비 가격이 저렴하지만, 1회 충전 시 주행거리가 짧은 단점이 있다. NCM 배터리에 비해 재활용도 어렵다.
LFP 배터리를 단 수입 전기차 1위인 테슬라의 모델Y 후륜구동(RWD)의 올해 보조금은 지난해 대비 20% 줄어든 169만원으로 책정됐다. KG모빌리티의 메인 모델인 중형 전기 SUV 토레스 EVX는 지난해 대비 약 22% 줄어든 356만원으로 책정됐다.
올해 최대 관심 모델인 BYD의 아토3의 국가 보조금은 아직 정해지지 않았다. LFP 배터리 탑재, 1회 충전 시 주행거리(321㎞) 등 환경부가 내세운 기준에 적용되지 않는 부분이 많아 보조금이 적게 책정될 것이란 게 업계의 시각이다. 업계 관계자는 "국비 보조금이 적게 책정이 돼도 3000만원 초반으로 책정됐기 때문에 가격 경쟁력이 있어 보인다"고 말했다.
올해 전기차 가격 경쟁 본격 예고
더욱이 정부는 올해 보조금이 전액 지급되는 차량 가격 기준을 지난해 5500만원에서 5300만원으로 내렸다. 8500만원 이상의 고가 전기차는 보조금 지원 대상에서 제외했다. 국가 보조금 전액을 받으려면 전기차 시작 가격이 올해부터는 5300만원 이하가 돼야 하는 것이다.전기차 보조금은 제조사가 가격을 정하는 데 중요 기준이 된다. 전기차 구매에 있어서 절대적인 비중을 차지하는 정부 보조금이 많이 지급될수록 많은 판매량을 보장하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테슬라는 지난해 전기차 보조금을 더 지급받기 위해 모델Y RWD의 가격을 5699만원에서 5499만원으로 조정했다. 지난해 전기차 전액 지급 기준액(5500만원)을 턱걸이로 맞춘 것이다.업계는 올해 정부가 전액 지급 가격을 낮추면서 테슬라와 같은 사례가 더욱 늘어날 것으로 보고 있다. 이로써 제조사 간 가격 경쟁력이 불붙으면서 전기차 가격 인하에도 도움이 될 것이란 전망이 많다. 여기에 정부는 제조사가 차 가격을 깎으면 할인액의 40%를 추가로 보조해주기로 했다. 업계 관계자는 "전기차 구매에 있어서 보조금의 역할이 절대적이기 때문에 제조사들의 전기차 가격 인하를 계속해서 고민할 것"이라고 말했다.
최수진 한경닷컴 기자 naiv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