침묵하는 대통령실 참모들…'거리두기' vs '간접지원'
입력
수정

27일 정치권에 따르면 다수 대통령실 참모는 꼭 필요한 일정을 제외하고 외부접촉을 최소화하고 있다. 언론 접촉은 물론 정부 인사와 접촉도 가능한 줄이고 있다는 설명이다. 한 참모는 "국무회의처럼 반드시 참여해야 하는 일정이 아니면 가급적 피하고 있다"며 "지금 상황에서 공개적으로 모습을 드러내는 것도 적절하지 않다고 판단했다"고 말했다. 이들 중에는 윤 대통령의 계엄에 '배신감'을 느끼고 있다는 얘기도 있다. 한 대통령실 관계자는 "계엄에 동의하지도 못할 뿐더러, 논의 과정에서 완전히 배제당한 상황이라 윤 대통령을 적극 지원할 마음이 들지 않았다"며 "탄핵소추안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한 이후에는 공식적으로 윤 대통령을 지원하는 게 부적절하기 때문에 연락조차 하지 않은 상태였다"고 전했다. 윤 대통령에 대한 체포가 집행된 당시에도 대부분 수석 이상급 참모는 한남동 관저를 찾지 않았다.
윤 대통령 탄핵안이 국회를 통과한 이후에는 대통령실이 대통령 권한대행을 지원해야 하지만, 이런 역할 분담도 제대로 안되고 있다는 분석이 많다. 정부 관계자는 "대통령실 참모들은 권한대행에 보고를 하는 것을 꺼려하는 기류가 분명히 있고, 권한대행 역시 총리실 및 기획재정부 내 자체 조직이 있다보니 대통령실의 지원이 반드시 필요한 상황이 아니다"라고 설명했다.
다만 일부 참모들은 다양한 방식으로 윤 대통령을 지원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윤 대통령 대변인단의 메시지를 외부에 전하거나 윤 대통령 체포 및 구속 등 상황에 대해 입장을 내는 방식이다. 정진석 비서실장도 여러차례 입장을 공식, 비공식적으로 냈다. 최진웅 전 국정메시지비서관은 윤 대통령을 본격적으로 지원하기 위해 사직하기도 했다. 여권 관계자는 "당분간 대통령실의 역할은 과거에 비해 제한적일 수밖에 없는 게 현실"이라며 "윤 대통령의 거취가 결정되고 나서야 역할에 대한 정립이 이뤄질 것"이라고 말했다.
도병욱 기자 dod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