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기 대선' 금기어 된 與…중도층 겨냥 대선 공약 물밑 시동
입력
수정
![사진=뉴스1](https://img.hankyung.com/photo/202501/ZN.39276492.1.jpg)
28일 여권에 따르면 국민의힘 경제활력 민생특별위원회(민생특위)는 설 이후부터 중도층과 청년층을 겨냥한 정책 마련에 본격적으로 들어간다. 한 국민의힘 관계자는 "특위와 여의도연구원이 중심이 돼 중장기적인 민생 경제 정책을 꾸준히 발굴할 계획"이라며 "탄핵이 확정되기 전에 '대선'을 논하기는 어렵지만, 사실상 대선 공약을 발굴하는 역할도 하게 될 것"이라고 전했다. 앞서 특위는 '고립'을 키워드로 사회에서 고립되거나 은둔 중인 1인 청년과 신중년, 노인 등을 타깃으로 정책을 준비하겠다고 발표한 바 있다. 또 소상공인과 자영업자 등 민생 경제 관련 정책, 성장 동력과 관련된 정책도 잇따라 마련할 계획이다.
국민의힘이 정책 행보에 시동을 거는 건 조기 대선 가능성을 고려한 차원이라는 분석이다. 특히 최근 탄핵 국면에서 여당의 '콘크리트 지지층'의 지지는 공고해졌지만, 중도층과 청년층으로부터는 공감을 끌어내지 못하고 있다는 분석이 많다. 한 특위 관계자는 "당의 미래는 결국 중수청(중도, 수도권, 청년)에 달려 있는데, 국민의힘은 청년이나 사회적 약자의 처우에 대해 크게 관심이 없다는 인식이 많다"며 "이를 타개하려면 '사다리'가 될 수 있는 현실적 정책을 다수 마련하고 제시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최근 민주당이 조기 대선을 염두에 두고 정책 행보를 발빠르게 이어가고 있다는 점도 여당에는 부담이다. 이재명 대표는 최근 기자회견에서 "이념이 밥 먹여 주지 않는다"는 말과 함께 실용주의로의 전환 의지를 내비쳤다. 내달 3일 반도체 관련 토론회에는 좌장으로 나서 국민의힘이 주장해 온 '52시간 면제 조항'(화이트컬러 이그젬션)에 대한 생각도 밝힐 예정이다. 중도층 공략을 위해 당분간 '우클릭'이 이어질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한 정치권 관계자는 "조기 대선이 금기어가 되다시피한 여당에선 대선 공약 준비가 야당 보다 뒤처질 수 있다는 우려도 있었다"며 "피부에 와닿는 민생, 경제 공약을 내놓는 당이 주도권을 쥘 수 있는 만큼 물밑 정책 경쟁이 갈수록 치열해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정소람 기자 ram@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