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AI차르 "딥시크, 오픈AI 독점 모델 이용"…지재권 침해 주장

딥시크(왼쪽)와 챗GPT 모바일 앱 아이콘. 사진=TASS
딥시크(왼쪽)와 챗GPT 모바일 앱 아이콘. 사진=TASS
미국 도널드 트럼프 정부에서 인공지능(AI)·가상자산 정책을 총괄하는 차르로 임명된 데이비드 색스가 중국 AI 스타트업 딥시크의 지식 재산권 침해 의혹을 제기했다.

색스는 28일(현지시간) 폭스뉴스와의 인터뷰에서 딥시크가 챗GPT 개발사인 오픈AI의 독점 모델을 이용해 기술을 개발한 증거를 확보했다고 주장했다.

그는 딥시크가 미국에서 지식 재산을 훔친 것이냐는 물음에 "가능하다"며 "딥시크가 오픈AI 모델에서 지식을 증류했다는 상당한 증거가 있다. 앞으로 몇달간 우리 주요 AI 기업들이 이를 방지하기 위한 조치에 나설 것"이라고 답했다.

증류(distillation)는 한 AI 모델이 다른 모델의 출력 결과를 훈련 목적으로 사용해 유사한 기능을 개발하는 것을 의미한다. 다만 색스는 구체적인 증거를 제시하진 않았다.

그는 "딥시크가 AI 모델들이 효율적일 수 있는 새로운 방법들을 보여준 것은 사실"이라며 "우리 AI 기업들 또한 그러한 효율적인 기술들을 배우고 채택할 것"이라고 말했다.

딥시크의 AI 앱은 고성능 반도체 칩을 사용하지 않고도 오픈AI의 챗GPT와 맞먹는다는 평가를 받으면서 미국 반도체 업계에 파장을 일으켰다.

이날 오픈AI도 중국 기업들이 미국 기업의 기술로 AI 모델을 개선하려 시도하고 있다고 발표했다. 오픈AI는 성명을 통해 "우리는 지식재산를 보호하기 위한 대응 조치를 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미국 기술을 빼앗으려는 적대국과 경쟁자들의 시도로부터 가장 최첨단 모델을 보호하기 위해 미국 정부와 긴밀히 협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오세성 한경닷컴 기자 sesu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