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EU 탄소세 본격화…기업들, 탄소포집 생태계 올라타야"

이호섭 한국CCUS추진단장
“내년부터 본격화되는 유럽연합(EU)의 탄소국경조정제도(CBAM)에 대비하려면 우리 기업들도 탄소포집저장(CCS) 사업에 관심을 기울여야 합니다.”

이호섭 한국CCUS추진단장(사진)은 30일 한국경제신문에 “현재는 국내 탄소배출권 가격이 t당 1만원 수준에 그쳐 기업들이 탄소를 감축할 경제적 유인이 약하지만 내년부터 CBAM이 전면 시행되면 상황이 완전히 달라진다”며 이렇게 말했다. CBAM은 유럽으로 수입된 제품의 탄소 배출량에 따라 관세를 부과하는 제도다.CCS산업 생태계는 탄소 다배출 기업이 CCS 기업에 비용을 지급하고, 그 대가로 탄소배출권 가격만큼 크레딧을 인정받는 방식으로 이뤄진다.

현재 글로벌 시장에서 CCS 비용은 탄소 1t에 100~150달러(약 18만~21만원)로 추산된다.

반면 국내 탄소배출권 가격은 t당 1만원 내외로 턱없이 낮다. 정부가 기업에 무상으로 배출권을 할당하다 보니 탄소배출권의 수요가 공급보다 적어 가격이 낮게 형성돼 있다. 이 때문에 국내 기업들이 CCS에 참여할 동인이 작다는 비판이 제기돼 왔다.하지만 내년부터는 상황이 달라진다. CBAM에 따라 EU의 높은 탄소배출권 가격(약 50~100유로)과 한국 탄소배출권 가격의 차액을 한국 수출기업이 EU 당국에 관세처럼 납부해야 하기 때문이다. 이 단장은 “어차피 탄소 감축은 피할 수 없는 이슈”라며 “국내 기업들도 초창기 CCS 생태계에 선제적으로 올라타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탄소 포집 시설, 수출입 터미널, 저장 시설, 탄소 운반선 등 관련 인프라 사업에서 하루라도 빨리 트랙레코드를 쌓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부 지원책의 필요성도 강조했다. 이 단장은 “미국은 탄소배출권 가격이 점차 오를 것으로 보고 CCS 사업자에게 탄소 1t당 85달러의 세액공제를 제공하고 있다”며 “한국도 이런 지원 방안을 통해 기업들이 CCS 사업에 투자할 인센티브를 제공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리안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