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쩐지 첫인상부터 다르더라…딥시크 로고에 이런 비밀이
입력
수정
딥시크, 푸른 고래와 둥근 폰트로 어필
검은 소용돌이 대신 '친숙한 푸른 고래'
기술적 완벽함 대신 친근함 내세워
기존 AI 서비스들과 차별화 노선 택해

딥시크는 앱 시스템 전반에 푸른색 고래와 둥근 폰트를 내세우며 이용자에게 브랜드 이미지를 각인시키고 있다. 이는 추상적 이미지만을 주로 사용하던 기존 AI 기업들의 브랜드 이미지와는 매우 상반된다는 평가다. 브랜딩 전문가들은 딥시크가 푸른색 고래를 사용한 이유를 놓고 '친근한 이미지를 공략한 결과'라는 분석을 내놓고 있다. 나스닥을 움직일 만큼 폭발적인 AI 스타트업이지만, 반대로 이용자들에게는 친숙한 이미지를 내세우며 '매력 어필'에 나섰다는 것이다.공식을 벗어나는 브랜딩을 통해 경쟁사와 섞이기보다는 차별화 노선을 택했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브랜드 로고와 이미지는 가장 쉽고 효과적인 마케팅 방법이다.
현재 AI 산업을 지배하는 브랜딩 공식은 로고에 추상적 디자인과 검은 색감을 사용하는 것으로 통한다. 자사 서비스에 고도화된 기술이 사용됐다는 사실을 표현하기 위해서다.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트위터를 인수한 뒤 '파랑새' 로고를 검은 'X'로 바꾼 것도 이같은 이유에서다. 오픈AI가 검은 소용돌이 로고를 사용하는 이유도 이와 비슷하다.

또다른 브랜딩 전문가들은 딥시크가 친숙한 동물 로고를 쓰면서 이용자들의 부정적인 반응을 사전에 차단할 수 있었다고도 분석한다. 상대적으로 신뢰가 쌓이기 어려운 신생 스타트업에다 중국에서 탄생한 AI 기업이기 때문에 이용자에게 위협적이지 않으려는 의식적 노력이 로고를 통해 드러난다는 것이다.
딥시크는 현재 로고로 푸른 고래를 택한 이유에 대해 공식적인 답변을 내놓지 않고 있다. 하지만 딥시크 AI 채팅에 로고에 대해 묻게 되면 "심해를 항해하는 고래는 곧 깊이 있는 지능의 탐구를 의미한다"며 "이는 회사가 AI를 통한 딥 러닝에 집중하는 것과 일치한다"는 답변을 내놓고 있는 상태다.
최지희 기자 mymasaki@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