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픈AI, 트럼프 2기와 '밀착'…"美국립연구소도 최신 AI 사용"

사진=REUTERS
사진=REUTERS
챗GPT 개발사 오픈AI가 미국 국립 연구소들과의 협력을 대폭 강화한다. 중국발(發) ‘딥시크 쇼크’ 나흘 만에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와 밀착하는 양상을 보이는 것이다.

30일(현지시간) 오픈AI는 미국 워싱턴DC에서 미국 국립 연구소들이 자사의 최신 AI 모델을 사용해 과학 연구를 할 수 있도록 하는 제휴를 맺는다고 발표했다. 이번 제휴에 따라 미 국립 연구소에서 근무하는 약 1만5000명의 과학자는 오픈AI의 논증 특화 모델 ‘o1’을 비롯한 최신 AI 모델을 이용할 수 있다. 오픈AI는 “미국 최고의 과학자들과 기술을 공유하는 건 인류에게 이익이 되는 범용인공지능(AGI)을 구축하려는 우리 사명과 일치한다”며 “미국 정부는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는 데 있어 중요한 파트너”라고 밝혔다. o1 등 최신 AI 모델은 과학 연구뿐 아니라 핵무기 보안에도 활용된다. 오픈AI는 “이번 제휴에는 핵전쟁의 위험을 줄이고 전 세계의 핵물질과 무기를 안전하게 확보하는 데 초점을 맞춘 핵무기 보안 관련 업무도 포함된다”고 밝혔다. 또 주요 투자자인 마이크로소프트(MS)와 협력해 로스앨러모스 국립연구소의 슈퍼컴퓨터 ‘베나도(Venado)’에도 자사 모델이 탑재된다고 발표했다.

국립 연구소들과의 제휴는 오픈AI가 미국 정부 기관용 AI 모델을 개발했다고 밝힌 지 이틀 만이다. 앞서 오픈AI는 지난 28일 기존 챗GPT의 정부 기관용 맞춤형 모델 ‘챗GPT Gov’를 공개했다. 해당 모델은 정부 기관에서 챗GPT에 더 쉽게 접근할 수 있게 하고 사이버 보안과 개인정보 보호 및 규정 준수 요구 사항을 더 쉽게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 오픈AI는 지난 21일 일본 소프트뱅크와 오라클과 합작해 최대 5000억달러를 투자한 ‘스타게이트’ 투자 계획을 발표하는 등 최근 트럼프 행정부와도 빠르게 밀착하고 있다.

실리콘밸리=송영찬 특파원 0ful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