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3년까지 연평균 최대 46만가구 필요"
입력
수정
LH 산하 연구원 분석
멸실률 등 반영한 전망치
정부 예상치 17% 웃돌아

한국토지주택공사(LH) 토지주택연구원은 11일 발간한 '사회·경제적 변화를 고려한 주택수요 분석 연구' 보고서에서 2033년까지 연평균 41만∼46만여가구의 신규 주택이 필요하다고 전망했다.
구체적으로는 연령대, 가구원수, 가구소득 등과 함께 주택재고량 대비 멸실 비율을 토대로 산정하는 '멸실률법' 적용 시 2033년까지 필요한 주택은 연평균 약 3667만9000㎡, 41만2700가구다.
멸실률을 좀 더 구체화해 주택의 경과 연수에 따른 멸실 확률을 산출해 반영하는 '생존분석법'을 적용할 경우 필요한 신규 주택 수는 연평균 약 4120만5000㎡, 46만2300가구로 더 는다.
이 중 수도권 수요는 멸실률법 기준 24만9000가구, 생존분석법 기준 27만1500가구로 모두 전국 수요의 절반 이상을 차지했다.
정부가 지난해 '제3차 장기 주거종합계획'(2023∼2032년)을 발표하면서 가구·소득·멸실 요인을 감안한 연평균 신규 수요를 39만3500가구(수도권 24만8400가구)로 제시한 것과 비교하면 적게는 1만9000여가구, 많게는 6만8000여가구 많다.
연구원과 정부의 주택 수요 전망이 차이나는 이유는 모형 추정과 전제 차이, 특히 멸실량 추정방식에서 차이가 있어서다. 연구원 관계자는 "서울은 특히 재건축이나 재개발 사업으로 멸실 이후 신규 공급되는 부분이 많은데 이 부분을 어느 정도로 추산하느냐에 따라 통계가 크게 달라질 수 있다"고 설명했다.
한편 주택 수요 예측량과 실제 공급량의 괴리는 주거 안정과 주택시장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 시장의 현실과 최근의 사회·경제적 변화를 반영하는 수요 분석·추정 방법론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는 제언이다.
이송렬 한경닷컴 기자 yisr0203@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