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투 영업이익 1.3조…증권사 4곳 '1조 클럽'
입력
수정
지면A14
2024년 연간 실적 분석
주요 증권사 5곳 영업익 총 5.6조
한투, 영업익·순익 모두 1조 넘어
美주식 거래 수수료 수입 급증
PF위기 꺾이며 충당금 부담 완화
◇ ‘김성환의 1등 전략’ 먹혔다
한국투자의 개인 금융상품 잔액은 2023년 53조4000억원에서 작년 67조8000억원으로 26% 넘게 늘었다. 매달 1조2000억원가량의 신규 자금이 들어온 셈이다. 채권과 발행어음 판매에 따른 운용 수익은 1년 만에 두 배 넘게 증가했다. 한국투자 관계자는 “작년 해외 주식 거래가 활발해지면서 위탁매매(브로커리지) 수수료가 늘었고, 자산관리 투자은행 등 전 부문에서 고른 성과를 냈다”고 말했다.
◇ “해외 거래 늘고 PF 부담 완화”
한국투자뿐만이 아니다. 미래에셋증권 삼성증권 키움증권 NH투자증권 등 5개 대형 증권사의 지난해 영업이익은 총 5조6450억원으로 집계됐다. NH투자증권(영업이익 9010억원)을 제외한 상위 4개사는 나란히 1조원 넘는 이익을 냈다. 대형사들이 이익 1조 클럽에 복귀한 것은 2021년 이후 3년 만이다. 역시 해외 주식 거래 덕을 톡톡히 봤다.한국예탁결제원에 따르면 미국 증시에 투자하는 개인들의 지난해 주식 매수액은 2567억달러(약 372조원)에 달했다. 2023년(1352억달러) 대비 두 배 수준이다. 해외 주식 거래 비용은 국내 주식 대비 3~4배 높다. 증권사 입장에선 ‘알짜’다. 키움증권은 작년 4분기 해외 주식 수수료가 794억원으로, 국내 수수료(656억원)를 넘어섰다. PF 충당금 등 일회성 비용이 줄어든 것도 호실적을 이끈 배경 중 하나다. 증권섹터 담당 애널리스트는 “대형 증권사들은 2023년 PF 충당금을 넉넉하게 적립하는 등 리스크 관리에 주력한 만큼 작년엔 일회성 비용을 크게 줄일 수 있었다”고 말했다.◇ 중소형사 “우린 아직 한겨울”
중소형 증권사들은 딴판이다. 전체 매출 중 부동산 PF 비중이 워낙 높기 때문이다. iM증권은 지난해 영업손실 2241억원, 순손실 1588억원을 냈다. 다올투자증권은 영업손실 755억원, 순손실 454억원을 기록했다. SK증권 역시 영업손실 1090억원을 내며 적자로 전환했다. 중소형 증권사의 실적 저하가 신용도에도 부담을 줄 것이란 지적이 많다. 추가 자금 조달 등 측면에서 불리할 수 있다는 것이다. 한 중소형 증권사 관계자는 “대형 증권사처럼 대규모 충당금을 쌓을 여력이 부족했던 게 사실”이라며 “다만 올해부터 실적 턴어라운드가 가능할 것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류은혁 기자 ehryu@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