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수도권 '공급 절벽'…1년 새 분양 40% 급감

13.4만→8.3만가구로 감소
경기침체·대출규제 직격탄
서울을 포함한 수도권에서 지난달 모델하우스를 연 단지가 한 곳도 없었다. 부동산 경기 침체와 탄핵 정국에 따른 정책 불확실성, 대출 규제 등이 겹친 영향으로 분석된다. 중소·중견 건설사뿐만 아니라 대형 건설사도 내수 침체와 수요 위축 등으로 공급 시기를 잡지 못해 주택 공급에 빨간불이 켜졌다는 우려가 나온다.

20일 부동산 정보업체 부동산R114에 따르면 올해 1~2월 수도권 분양 물량은 6403가구였다. 작년 같은 기간(2만1316가구)에 비해 70% 급감했다. 연간 수도권 공급 물량(민간과 공공 합계)도 작년(13만4140가구)보다 약 5만 가구(38%) 감소한 8만3485가구로 조사됐다. 서울 분양 물량은 1만2628가구로, 작년(2만8219가구)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할 전망이다.

업계는 책임준공 부담, 지방 미분양 등으로 자금줄이 마른 중소·중견 건설사의 공급 여력이 바닥났다고 보고 있다. 대형 건설사도 공급 물량을 대폭 줄인 데다 지방에서 분양 일정을 미루기 일쑤다. 당초 1만5000가구 공급을 계획한 A건설사는 경기 침체와 탄핵 정국 불확실성에 상반기 예정 물량 대부분을 하반기로 돌리는 방안을 고려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주택 공급 부족과 함께 올해부터 입주난이 현실화할 것으로 우려한다. 지난 3년간 금리 인상과 공사비 상승 등으로 주택 착공 물량이 뚜렷하게 감소했기 때문이다. 허윤경 한국건설산업연구원 연구위원은 “올해부터 준공·입주 물량이 예년 수준을 크게 밑돌 것”이라며 “서울 등 수도권에서 주택 공급이 안정적으로 이뤄지려면 재건축 규제 완화 등 정비사업 활성화가 시급하다”고 말했다.

안정락/임근호 기자 jra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