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조명받는 ‘회피 배출량’, 그린워싱 논란 피하려면
입력
수정
테슬라, SK이노베이션, 지멘스 등 일부 선도 기업이 부분적으로 회피 배출량 공시를 시작했다. 기술과 제품의 친환경성을 적극적으로 드러낼 수 있어서다. 그린워싱 논란을 피하려면 회피 배출량 산정에 전과정평가(LCA) 방식을 차용해야 한다.[한경ESG] 이슈 - 회피 배출량

특히 회피 배출량 산정 시 비교 전과정평가(LCA) 원칙을 적용하면 단계별 환경부하를 고려할 뿐 아니라 탄소배출 외 환경적 측면도 반영할 수 있다. 또 기존에 구축된 LCA 인프라를 활용함으로써 측정된 배출량 간 비교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
회피 배출량은 기업 또는 조직의 경계 내 온실가스배출량인 스코프 1·2, 경계 밖 온실가스배출량인 스코프 3(총외부배출량)와 명확히 구분되는 개념이다. 초기에는 ‘스코프 4’ 또는 ‘탄소 손자국(carbon handprint)’ 등으로 불렸으나, 세계지속가능발전기업협의회(WBCSD)는 회피 배출량이라는 용어를 사용할 것을 권장하고 있다.

SK이노베이션 또한 다양한 저탄소 프로젝트 및 제품을 기반으로 회피 배출량을 산정하고 있으며, 2050년까지 총 1억 톤 이상 탄소배출을 감축하는 것을 주요 환경경영 목표로 설정했다. 지멘스와 GE 역시 B2B 비즈니스 영역에서 에너지 효율을 개선한 제품의 회피 배출량을 산정해 보고하고 있다.
다만 기업마다 회피 배출량을 산정하는 대상과 범위에는 차이가 있다. 일부 기업은 생산하는 제품이나 기술의 사용 단계에 국한하지 않고, 스코프 1~3 경계 내 탄소저감 성과까지 포함해 회피 배출량으로 정의하기도 한다.
회피 배출량 개념이 저탄소 비즈니스 성장에 긍정적 역할을 하는 것은 사실이지만, 조직 및 사업장에 적용되는 탄소규제, 탄소중립 관련 자발적 이니셔티브, 기후 공시 등 다양한 요소와 상호 연관성이 있는 만큼 보다 정교한 산정 방식이 요구된다.

현재 회피 배출량 산정과 관련해 세계자원연구소(WRI)와 세계지속가능발전기업협의회(WBCSD)는 귀속적 전과정평가(Attributional LCA, ALCA)와 결과적 전과정평가(Consequential LCA, CLCA) 방식을 제안하고 있다. ALCA는 기업 관점에서 기존 대비 저탄소 제품 또는 기술의 절대적 환경개선 성과를 평가하는 방식이다. 반면, CLCA는 저탄소 제품 또는 기술이 산업 및 사회 전반에 적용될 경우 발생하는 전체 배출량 변화를 분석하는 방식이다. 이 중 ALCA는 국제표준(ISO 14040)의 비교 전과정평가(Comparative LCA)와 유사한 개념이다.
비교 LCA를 활용하면 회피 배출량 연구 과정에서 지속적으로 제기되는 위장 환경주의(그린워싱, greenwashing) 논란을 상당 부분 해소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회피 배출량 산정 시 비교 LCA 원칙을 적용함으로써 기대할 수 있는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과정적 접근을 통해 단계별 환경부하를 종합적으로 고려할 수 있다. 특정 제품 또는 기술이 사용 단계에서 탄소저감 효과를 보이더라도 생산·폐기·재활용 과정에서 오히려 더 높은 탄소배출이 발생하면 그린워싱 논란을 피할 수 없다. 따라서 회피 배출량을 스코프 1~3과 명확히 구분해 산정하는 동시에 공급망 전체 배출량까지 포함하는 것이 중요하다.
둘째, 탄소배출 외 환경영향을 고려할 수 있다. WRI(2019)에서 회피 배출량 개념을 제안한 이후, 이를 적용하는 대부분의 기업이 회피 배출량 산정을 탄소배출에 한정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탄소배출 저감 효과와 다른 환경영향 간 상쇄 효과를 고려하지 않으면 기업 및 시장은 새로운 규제 또는 시장 요구에 의해 한계에 직면할 가능성이 크다. 따라서 비교 LCA를 활용해 포괄적 환경영향을 평가할 필요가 있다.
셋째, 일관된 방법론을 적용해 비교가능성을 개선할 수 있다. 기업은 기존 기술의 환경영향을 평가하는 데 비교 LCA를 활용해왔다. 회피 배출량 역시 비교 LCA를 적용하면 기존 기술과 저탄소 기술을 동일한 조건에서 평가할 수 있다. 비교 LCA에서는 기능 단위, 시스템 경계, 데이터 품질, 영향평가 방법, 가정 및 제한 사항 등이 중요한 요소로 다뤄진다. 최근 국내에서도 LCA에 대한 산업계 수요가 증가하면서 전문 인력과 도구, 플랫폼 등 관련 인프라가 충분히 구축되어 기업의 접근이 용이한 상황이다.
회피 배출량 공개는 기업의 탈탄소화 전략에서 중요한 요소로 자리 잡고 있다. 저탄소 제품 및 서비스에 대한 수요 증가와 맞물려 강력한 마케팅 도구로 활용되는 동시에 기업과 제품의 기후·환경 정보에 대한 시장의 감시 기능도 강화되고 있다. 이러한 과정에서 회피 배출량 개념은 기업이 지속가능한 탈탄소 비즈니스를 성장시킬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역할을 할 것이다.
정다윤 에코앤파트너스 팀장·유지은 책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