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일본' 아니었다…한류 기사 가장 많이 쏟아낸 나라는?
입력
수정
한류 보도가 가장 많았던 국가는 인도

문화체육관광부(장관 유인촌)와 한국문화정보원(원장 정운현)은 25일 이 같은 내용이 담긴 '2024년 글로벌 한류 트렌드 분석 보고서'를 발표했다. 이 보고서는 2023년 10월부터 2024년 9월까지 외신 기사와 누리소통망에서 한류 관련 자료 68만 건을 수집, 분석해 작성됐다.보고서에 따르면 대륙별 주 관심사는 K팝 비중이 압도적이었다. 북미 대륙은 'K푸드'로 불리는 한국 음식에 대한 관심이 더 높게 나타났다. 김치의 날 제정과 김치의 효능, 불닭볶음면의 유행에 관한 보도와 언급에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대륙별로 한류 현황을 살펴보면 아시아(50.6%), 유럽(27.5%), 북미(13.6%) 순으로 한류 관련 기사가 많이 보도된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아시아 대륙은 모든 콘텐츠에서 평균을 웃도는 보도량을 보였다. 아시아(50.6%), 유럽(27.5%), 북미(13.6%) 순으로 한류 관련 기사가 많이 보도됐다.
콘텐츠별로는 아시아, 유럽, 중남미 대륙에서는 K팝 콘텐츠 관련 비중이 가장 높았다. 북미, 아프리카, 오세아니아에서는 한국 음식 언급 비중이 K팝과 K드라마, K영화 등을 압도했다.특히 국내에서도 흥행에 성공한 영화 '파묘', '베테랑2', '범죄도시4', '콘크리트 유토피아' 등과 넷플릭스 등 글로벌 플랫폼을 통해 선보여진 '오징어게임2', '눈물의 여왕', '선재 업고 튀어' 등도 여러 대륙에서 고루 주목받았다.
한류와 관련한 보도가 가장 많았던 국가는 인도였다. 이후 미국, 태국, 튀르키예 순이었다. 인도, 태국, 필리핀에서는 케이팝 비중이 높았으나 나이지리아, 미국, 영국에서는 한국 음식(케이푸드)의 비중이 높았다. 튀르키예에서는 한국 드라마, 중국은 한국 영화가 높은 비중을 차지해 눈길을 끌었다.
김소연 한경닷컴 기자 sue123@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