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입차도 하이브리드 열풍…올들어 4대중 3대 꼴 판매
입력
수정
지면C1
BMW, 고성능 M시리즈 첫 모델 출시
메르세데스벤츠 'AMG E 53 4MATIC+'
렉서스도 다음달 '디 올 뉴 LX700h' 내놔
현대차, 디 올 뉴 팰리세이드 2분기 출격
KG모빌리티도 토레스·액티언 준비

◇ 하이브리드카 ‘껑충’
카이즈유 데이터연구소에 따르면 지난해 신규로 등록된 하이브리드카(수입차 포함)는 39만4613대에 달했다. 2023년(30만9164대)에 비해 27.6% 증가했다. 2021년 20만대(18만4799대)에 못 미쳤던 하이브리드카 판매량은 2022년 21만1304대 등 매년 급증세다.

비싼 수입차 시장에서도 하이브리드카의 돌풍이 거세다. 한국수입자동차협회(KAIDA)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에서 팔린 수입 하이브리드카(마일드하이브리드 포함)는 13만4426대로 점유율은 51.1%에 달한다. 올 들어선 하이브리드카 점유율이 더 오르고 있다. 지난달 수입 하이브리드카는 판매량은 1만1551대로 점유율은 75.8%로, 국내에서 팔린 수입차 4대 중 3대는 하이브리드카였다. 다만 하이브리드카의 세제혜택이 줄어든 점은 판매 확대에 걸림돌로 꼽힌다. 올해부터 하이브리드카에 대한 개별소비세 감면 한도가 100만원에 70만원으로 줄어들었고 취득세 감면도 종료됐다.
◇ BMW·벤츠·렉서스 ‘고성능’
완성차 업체들도 하이브리드카 신모델을 잇따라 선보인다. 현대자동차는 올해 밀리언셀러(100만대 판매) 달성이 유력한 대형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인 디 올 뉴 팰리세이드 하이브리드 모델을 2분기 중 출시할 계획이다. 현대차는 팰리세이드 하이브리드에 차세대 2.5 L 터보 하이브리드 시스템을 최초로 적용했다. 기존 현대차 하이브리드카와 달리 모터 2개가 달렸다. 구동과 시동 부문에 각각 탑재된 모터가 주행 조건에 따라 상호 보완 역할을 하며 연비 효율과 동력 성능을 높였다. 1회 주유 시 주행거리가 1000㎞가 넘을 정도로 경제성이 뛰어난 것으로 알려졌다.KG모빌리티도 중형 SUV 토레스와 액티언의 하이브리드 신형 모델을 내놓을 예정이다. 상반기 중 토레스 하이브리드를 우선 선보이고 액티언 등 나머지 모델들도 하이브리드를 추가할 계획이다.
메르세데스벤츠도 대표 세단인 E클래스의 고성능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모델인 ‘메르세데스-AMG E 53 하이브리드 4MATIC+’을 출시했다. 3.0L 직렬 6기통 가솔린 터보 엔진과 전기 모터가 결합해 최대 585마력의 시스템 출력 및 최대 750 Nm의 시스템 토크를 발휘한다. AMG답게 정지 상태에서 시속 100km까지 3.8초만에 도달한다. 일렉트릭 모드 주행 시 66km(국내 인증 기준)를 순수 전기로 달릴 수 있다.
메르세데스-AMG E 53 하이브리드 4MATIC+의 가격은 1억 3860만 원이다.
김보형 기자 kph21c@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