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민 10명 중 6명 "지하철 무임승차 연령 높여야"…"70세 적정"
입력
수정
서울시의회 '서울시 도시철도서울 시민 10명 중 6명은 현재 65세 이상인 지하철 무임승차 연령을 상향 조정하는 데 찬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적정 연령으로는 ‘70세’를 꼽는 의견이 대다수였다.
노인 무임승차 현황·개선 토론회'
5일 서울시의회 교통위원회가 주최한 ‘서울시 도시철도 노인 무임승차 현황 및 개선에 대한 토론회’에서 윤영희 서울시의원(국민의힘·비례)은 이 같은 내용의 설문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무임승차 적용 연령을 올리는 데 ‘찬성한다’는 응답은 64%였다. ‘모르겠다’는 19%, ‘반대한다’는 17%였다.
무임승차 연령 상향 찬성 이유로는 ‘미래 세대 부담 증가’(39%)가 가장 많았다. 이어 ‘사회적 인식 변화’(37%) ‘지하철 없는 지역 노인과의 차별 발생’(24%) 순이었다. 반면 반대 이유로는 ‘경제적 어려움을 겪는 노인의 교통비 부담 증가’(58%)가 압도적이었다.
적정 상향 연령으로는 응답자의 76%가 70세를 선택했다. 이어 68세(11%), 66세(6%), 67세(5%), 69세(2%) 순으로 나타났다.
연령 상한 방식과 관련해선 ‘66∼70세 사이로 즉시 상향’에 59%가 동의했고 23%는 미동의했다. ‘67세 상한으로 3년마다 1세씩 증가’ 안에는 48%가 동의, 27%가 미동의했다. ‘70세 상한으로 3년마다 1세씩 증가’에는 52%가 동의, 26%가 동의하지 않았다.
무임승차 제도가 지하철 적자에 영향을 미친다는 응답은 77%로 높게 나타났다. 이와 관련해 무임할인율을 100%에서 50%로 조정하는 방안에는 44%가 동의했고, 34%가 미동의했다. 출퇴근 시간대 무임승차를 제한하는 방안에는 61%가 찬성했고 23%가 반대했다.
이번 조사는 지난해 12월 11~15일 서울 시민 1144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및 현장 설문 방식으로 이뤄졌다. 응답자 연령대는 50대(18.4%)가 최다였고 30대(17.7%), 40대(17.2%), 20대 및 60대(각 16.3%), 70대(9.4%), 80대 이상(4.8%) 순으로 많았다.
윤 의원은 “100세 시대에 맞는 지하철 무임승차 기준 조정이 필요한 상황”이라며 “70세를 기준으로 단계적 상향을 추진하면 사회적 갈등을 줄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오유림 기자 our@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