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락가락 '트럼프 관세'…美 공화당 내부서도 불만 터졌다

멕시코·캐나다 관세 한 달 또 유예
4월 이후 상호관세로 수렴될 듯
잦은 정책 변경으로 공화당 내부서도 불만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6일(현지시간) 멕시코와 캐나다에 부과한 25% 관세 중 상당 부분을 약 1개월간 유예하기로 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멕시코와 캐나다에서 수입되는 제품 중 미국·멕시코·캐나다 무역협정(USMCA)이 적용되는 품목에 대해서는 내달 2일까지 ‘25% 관세’를 면제하는 내용의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전날엔 멕시코, 캐나다산 자동차에 대해 1개월 관세 면제를 결정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이같은 결정은 캐나다와 멕시코에 대한 고율 관세가 미국 경제에 인플레이션 역효과가 나타날 수 있는 점을 고려한 것으로 풀이된다. 캐나다와 멕시코가 불법 이민과 펜타닐 유입 차단에 대한 노력을 인정한 것이라는 해석도 나온다.
사진=REUTERS
사진=REUTERS
트럼프 대통령은 대신 멕시코와 캐나다도 4월 이후 상호관세 대상에 포함할 것으로 예상된다. 미국은 4월 2일에 전 세계 각국의 대미 관세율과 비관세 장벽 등을 두루 고려해 ‘상호 관세’를 부과할 예정이다. 미국에 관세를 부과하는 만큼 상대국에도 관세를 지우겠다는 게 정책 취지다. 기존엔 유럽연합(EU)이 상호관세 주요 타깃이었다.

트럼프 대통령은 “멕시코와 캐나다가 펜타닐 부문에서 충분한 노력을 해서 이 논의(펜타닐 관련 관세)는 의제에서 빠지고, 상호 관세 대화로 넘어갈 수 있길 희망한다”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관세 부과와 유예, 대상 범위 변경 등을 번복하자 미국 공화당 내부에서조차 불만이 터져 나오고 있다. 민주당과 각국의 비판 및 설명 요청에 대응하기 힘들어지면서다.

뉴욕증시는 관세 정책의 목적이 불분명하다는 점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다. 멕시코와 캐나다에 대한 관세 부과가 유예됐지만 상호관세 부과에 대한 트럼프 대통령의 의지를 재확인해서다. 이날 뉴욕증시에서 S&P 500 지수는 전장보다 104.11포인트(-1.78%) 내린 5,738.52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전장보다 483.48포인트(-2.61%) 내린 18,069.26에 각각 마감했다.

뉴욕=박신영 특파원 nyuso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