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주택거래 급증…집값 우려 커지면 정책 대응할 것" 경고

박종우 한국은행 부총재보가 13일 통화신용정책보고서 설명회에서 질문에 답변하고 있다. 한은 제공.
박종우 한국은행 부총재보가 13일 통화신용정책보고서 설명회에서 질문에 답변하고 있다. 한은 제공.
한국은행이 최근 주택거래가 급증하면서 가계부채가 늘어날 조짐이 나타나고 있는 것과 관련해 "(집값 상승) 우려가 확산할 경우 정책적 대응을 하겠다"고 밝혔다. 정부의 거시건전성 강화 정책과 한은의 금리인하 속도 조절을 통해 가계부채 증가를 막겠다는 의지를 보인 것으로 풀이된다.

박종우 한은 통화정책 담당 부총재보는 13일 통화신용정책 보고서 설명회에서 "지난달 가계대출이 당초 예상했던 것보다 조금 더 늘었다"며 "2월까지는 가계부채 증가세가 '안정적'이라고 평가했지만 이후 이 평가를 유지할 수 있을지 불확실성이 큰 상황"이라고 말했다.

금융위원회와 한은에 따르면 지난달 금융권 가계대출은 4조3000억원 증가했다. 1월 9000억원 감소에서 한달만에 증가로 전환했다.

한은은 이같은 가계대출 증가 흐름이 이달 이후 이어질 수 있다고 보고 있다. 박 부총재보는 "주택 거래량이 예상보다 더 증가하고 있다"며 "주택거래가 늘면 1~2개월 시차를 두고 부채가 증가할 수 있는만큼 이를 분명히 유의하면서 지켜보고 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우려가 확산할 경우 여러가지 정책공조를 통해 대응을 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토지거래허가제 해제 이후 서울 일부 지역을 중심으로 나타난 주택가격 상승세가 서울 다른지역 등으로 확산할 지 여부도 변수로 보는 부분이다. 박 부총재보는 "(토허제 해제 이후)서울 일부지역에서 주택 가격이 가파르게 상승했다"며 "가격 상승세가 주변지역으로 확산할 것인지 걱정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 같은 답변에 관해 박 부총재보는 설명회 후 기자와 만나 "한은이 시장에 가계부채와 관련해 우려하고 있다는 메시지를 전달한 것"이라고 덧붙였다.

가계부채 증가를 막기 위한 정책 대응으로는 정부의 거시건전성 정책 강화와 한은의 기준금리 인하 속도 조절 등이 있다. 시장에선 한은이 4월 금통위에서는 금리를 동결한 후 5월 또는 7월께 추가 인하를 단행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가계부채에 대한 우려가 커진다면 상반기 추가 금리 인하가 없을 수도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한은은 이날 보고서에서 지난해 10월부터 지난달까지 3차례에 걸쳐 기준금리를 0.75%포인트 내린 영향으로 가계부채 증가율이 올해 0.60%포인트 더 높아질 것으로 추정했다. 내년 증가율은 1.53%포인트 더 커진다고 봤다. 추가 금리 인하시 신규주택 공급 감소와 맞물려 가계대출이 예상보다 크게 늘어날 수 있다는 점도 언급했다.

신성환 한은 금통위원은 "향후 통화정책은 경기 하방압력을 완화하는 데 비중을 두고 운영하되, 가계부채 및 주택가격, 환율 등 금융안정 상황에 계속 유의하면서 추가 인하의 시기와 속도를 결정할 것"이라고 밝혔다.

강진규 기자 josep@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