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라벨 챙길게요" 양심적 병역거부도 폭증…독일 '초비상'

독일 호엔펠스에서 열린 연합군 스피릿 25 훈련에 군인들이 참여하고 있다. 사진=EPA
독일 호엔펠스에서 열린 연합군 스피릿 25 훈련에 군인들이 참여하고 있다. 사진=EPA
러시아의 위협과 미국의 무관심에 충격을 받은 독일이 국방력 강화에 나섰지만, 청년들의 외면에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알려졌다.

15일(현지시간)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에 따르면 군비 증강에 나선 독일의 전체 병력이 줄어들고 있다. 군대의 높은 이탈률과 병역 거부자의 증가 여파로 풀이된다.

독일은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하자 2022년부터 1000억 유로(약 158조원)를 투입하며 군비를 증강하고 있다. 현역병 수도 2025년 20만3000명으로 늘리겠다는 계획을 세웠다.

하지만 지난해 전체 병력은 전년 대비 340명 줄어든 18만1174명에 그쳤고, 장병 평균 연령은 32.4세에서 34세로 높아졌다. 결국 병력을 20만명 이상으로 늘리겠다는 목표 시점을 2031년으로 6년 미뤘다.

독일 연방의회 군사위원회 위원장인 에바 회글은 "연방군은 갈수록 규모가 줄고 고령화되고 있다. 모든 것이 부족하다"고 지적했다.

지난해 병력이 줄어든 이유는 중도에 군대를 떠난 이탈자가 많았던 탓이다. 2023년 입대한 1만8810명 가운데 4분의 1이 6개월 이내 군을 떠났다. 양심적 병역 거부자도 지난해 2998명에 달하면서 2021년 200명에서 15배가량 급증했다.

젊은 세대가 과거보다 더 군 복무를 꺼리기 때문이다. 독일의 한 지휘관은 젊은 군인을 두고 "그들은 항상 워라벨을 이야기한다"며 "그들이 자라온 환경을 이해하고 그게 나쁜 자세라는 것도 아니다. 하지만 전시상황과는 맞지 않는다"고 말했다.

유럽 각국이 군비 확충에 나서면서 전쟁 가능성이 높아진 탓에 군인들이 실질적 위험을 느끼게 됐고, 유럽의 지정학적 특성으로 인해 '목숨을 바쳐 조국을 지키겠다'는 책임감을 심어주기도 어렵다는 평가가 나온다.

미국 카네기 국제평화재단의 선임연구원인 소피아 베슈는 독일 같은 나라는 '정부와 시민 간의 공유된 신뢰'가 부족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들이 유럽의 집단 안보를 위해 우크라이나나 라트비아 등으로 파병된다면 '왜 남의 나라를 위해 우리만 총을 들어야 하느냐'는 불만이 제기될 수 있다는 것이다.

지난달 독일 총선에서는 우크라이나에 대한 군사 지원에 반대한 극우·극좌 정당이 18∼24세의 청년층에게서 50% 가까운 지지를 얻었다. 최근 여론조사기관 유거브의 설문에선 독일인의 58%가 징병제 부활에 찬성했지만, 18~29세 찬성률은 3분의 1에 그쳤다.

베슈는 "오늘날 독일의 젊은이들이 기꺼이 싸워 지키고자 하는 대상이 독일일지, 아니면 유럽일지 자문해봐야 한다"고 지적했다. 최근 '나는 왜 조국을 위해 싸우지 않으려 하는가'라는 책을 출간한 독일의 프리랜서 기자 올레 뉘멘은 FT와 인터뷰에서 "외국에 점령당하면 엉망진창인 삶을 살게 될 수 있겠지만, 죽는 것보다는 점령당하는 편이 낫다"고 말했다.

오세성 한경닷컴 기자 sesu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