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판·검사보다 '김·광·태·율·세·화'

신입 변호사 78% 'SKY' 출신
상위권 졸업생 판·검사 임용 '뚝'
판사, 검사로 임용되면 사회적으로 선망받던 법조계 분위기가 급변하고 있다. 법학전문대학원(로스쿨)을 다니는 예비 법조인들의 꿈이 ‘김광태율세화’(김앤장 광장 태평양 율촌 세종 화우)로 불리는 대형 로펌 입사로 바뀌며 법조계 인재가 검찰, 법원이 아니라 로펌으로 몰리고 있다.

18일 한국경제신문이 김앤장 광장 태평양 율촌 세종 화우 등 대형 로펌 여섯 곳의 입사자를 분석한 결과 올해 신임 변호사 200명 중 157명(78.5%)이 ‘SKY’(서울대 연세대 고려대) 로스쿨 출신이었다. 서울대 로스쿨 출신이 82명으로 가장 많았으며 연세대 38명, 고려대 37명 순이었다. 2023년 257명 중 196명(76.3%)이 SKY 로스쿨 출신이던 것과 비교하면 2년 새 비중이 2.2%포인트 높아졌다. 1500억원대 실적을 내 7대(연매출 기준) 로펌에 진입한 법무법인 YK는 지난해 SKY 로스쿨 출신 신임 변호사 일곱 명을 영입했다.대형 로펌에 인재가 몰리며 상위권 로스쿨 졸업생이 판사, 검사 등 공직을 선택하는 비중은 점점 낮아지고 있다. 법무부에 따르면 검사로 임용된 SKY 로스쿨 출신의 비중은 2014년 57.5%(40명 중 23명)에서 작년 25.6%(144명 중 37명)로 10년 새 31.9%포인트 떨어졌다. SKY 출신 신임 판사도 3년 연속 감소세다. 2021년 임용된 판사 79명 중 29명(36.7%)이 SKY 출신이었는데 2023년에는 87명 중 28명(32.2%)으로 줄었다.

대형 로펌들은 우수 인력이 다른 로펌에 가지 못하도록 학생을 ‘입도선매’하는 전략을 쓰고 있다. 대형 로펌은 로스쿨 1, 2학년을 대상으로 인턴십을 하는데 그 과정에서 인재를 선점한다. 한 로펌 관계자는 “일부 대형 로펌은 서울대 로스쿨에서 똘똘하다고 소문난 학생에게 인사팀이 연락해 물밑 협상을 벌이기도 한다”고 말했다.

권용훈 기자 fact@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