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 교수들 "전공의들 오만" vs 박단 "교수 자격 없는 분들"
입력
수정
암 등 중증환자들 "공포 속에 견디고 살아"
"참스승 모습 보인 교수님들에 감사"
서울대 교수들 "투쟁방식 정의롭지 않아"
박단, 전공의·의대생 비판에 "대응가치 없어"

18일 한국암환자권익협의회 등 8개 중증 질환 단체로 구성된 한국중증질환연합회는 입장문을 통해 "1년이 넘는 시간 동안 환자들은 전공의 집단 이탈로 발생한 의료 대란을 몸소 겪으며 공포 속에 견디며 살았다"며 "(이들이) 참스승의 면모를 보였다는 점에서 환영하고 응원한다"고 밝혔다.
이들 단체는 "환자를 버린 행위까지 감싸주는 의사들의 카르텔 문제를 수면 위로 올려 비판한 것이다"라며 "입장을 밝힌 의대 교수들이 내부에서 공격받지 않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한 췌장암 환우는 "의료계의 내부 사정도 잘 모르고 사람마다 정치적 견해도 다르겠지만 무엇보다 이 어려운 시기에 아픈 환자 곁에 남겠다는 결정을 해주신 여러분 덕분에 하루하루를 버텨나갈 수 있는 것 같다"며 "병마와 싸워야 할 중요한 순간이 사라지지 않도록 환자와 가족의 시간을 꼭 잡아주셔서 감사하다"고 병원에 남은 의료진에 감사의 말을 전했다.
수술·항암·방사선 치료를 끝내고 일상으로 돌아왔다는 환자는 "의료진분들이 있으셨기에 일상 회복이 가능했다. 감사드리고 존경한다"고 했다.
전날 서울대 의대·서울대병원의 하은진·오주환·한세원·강희경 교수는 현장을 지키는 동료를 조롱하고 복귀를 방해하는 의대생·전공의들을 향해 "정말 내가 알던 제자, 후배들이 맞는가, 이들 중 우리의 제자, 후배가 있을까 두려움을 느낀다"고 했다. 교수들은 "조금은 겸손하면 좋으련만, 의사 면허 하나로 전문가 대접을 받으려는 모습도 오만하기 그지없다"고 지적했다.
이들은 17일 입장문을 내고 "여러분이 원하는 것이 정부를 반대하는 것인가 아니면 대한민국 의료를 개선하는 것인가. 현재의 투쟁 방식과 목표는 정의롭지도 않고 사회를 설득할 수도 없다"며 "이런 투쟁 방식에 계속 동조할 것인지 아니면 제대로 된 목소리를 낼 것인지 선택해야 한다. 그리고 그 선택에 책임을 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들은 "메디스태프(의료계 커뮤니티), 의료 관련 기사 댓글, 박단 대한전공의협의회 비상대책위원장의 페이스북 글들 안에, 환자에 대한 책임도, 동료에 대한 존중도, 전문가로서의 품격도 찾아볼 수 없는 말들이 넘쳐난다"고 비판했다.
전공의들이 수련 과정을 '착취당했다'고 주장하는 것에 대해서도 "수련 환경이 가혹한 점에서는 동의한다. 하지만 전문의가 된 후에 대다수는 고액 연봉을 받으며 안정적인 삶을 살고 있지 않나"며 "석·박사 과정 연구자들, 생산직·서비스 노동자들, 월수입 100만원을 벌지 못하는 자영업자들의 삶이 여러분의 눈에 보이기는 하나. '억울하면 의대 오든지'라는 태도는 진심인가"라고 반문했다.

이어 "대학 병원의 가장 큰 문제는 노동과 그에 따른 책임이 위계적으로 전가된다는 것이다. 병원장은 교수에게, 교수는 전공의에게 노동을 전가하고 있다"면서 "전공의가 없는 지금, 교수는 이제 간호사에게 의사의 책무를 떠넘기고 있다. 교수의 편의만을 위해 환자의 위험을 높이고 있다"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논리도 없고 모순투성이인 이 글을 비판 없이 보도하는 것은 사태 해결에 아무런 도움이 되지 않는다"면서 "대응할 가치도 없다"고 일축했다.
한편 전공의가 요구한 7대 요구안 중에서 4개는 정부·국회의 대안 마련 절차가 진행되고 있다. 먼저 전공의가 요구한 '과학적 근거에 기반을 둔 의대 정원 결정'과 관련해선 의료인력수급추계의원회 설치법안이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법안심사소위원회를 통과하고 전체회의 심사를 앞두고 있다.
이미나 한경닷컴 기자 helper@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