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감원, 우리금융 경영평가 통보…"여타 금융지주보다 미흡"
입력
수정
우리금융 경영평가 2→3등급 하향 조정한 것으로 알려져

금감원은 19일 '우리금융지주 대상 경영실태 평가 결과 설명' 자료를 통해 "직전 경영실태평가에 대비해 세부 평가항목 중 상향조정된 항목보다 하향조정된 항목이 다수 발생했다"며 "이는 여타 금융지주와 비교할 경우에도 리스크관리 측면에서 다소 미흡한 수준으로 판단된다"고 밝혔다.
금감원은 전날 경영실태평가 등급 결과를 우리금융지주에 통보했다고 밝혔다. 다만, 구체적인 등급결과는 공식적으로 명시하지 않았다.
경영실태평가는 금융지주와 자회사 등의 경영 건전성 유지를 위해 감독 당국이 그룹 전체 차원에서 금융지주의 합리적이고 객관적 현황을 평가하는 제도다.
평가대상은 리스크관리 부문, 재무상태 부문, 잠재적 충격 부문 등 3개 평가 부분이며 세부적으로 11개 세부평가 및 50개 평가항목으로 구성됐다.
평가결과는 1~5등급의 5단계 및 등급별로 다시 3단계로 구분해 총 15개 등급 체계의 종합평가 등급으로 평가된다.
금감원 경영실태평가 결과에 따르면 우리금융은 자회사 M&A 등 주요 경영의사결정 시 사전 검토, 자회사 리스크 한도 관리, 주요 자회사의 거액·반복 부당대출 등 금융사고에 대한 관리 등 리스크관리 부문에서 미흡한 점이 다수 발견됐다.
또 자회사 등에 대한 업무지원과 통할, 그룹 내 내부거래 관리 등 잠재적 충격 부문에서도 부족한 부분이 확인됐다.
금감원은 금융위원회로부터 우리금융의 자회사 편입승인 심사를 의뢰받아 관련 자료를 검토하고 있는 단계다. 우리금융은 지난 1월 동양·ABL 생명에 대한 자회사 편입승인 심사를 신청한 바 있다.
금감원은 법령상 편입승인 요건 확인을 위해 공정거래위원회 및 소관 검사국에 사실조회를 실시했으며, 우리금융에도 내부통제 개선계획 등 추가자료를 제출받아 심사하고 있다.
다만 3등급 이하의 경영 실태 평가를 받았어도 인수가 완전히 무산되는 것은 아니다.
최종 승인 여부는 금융위가 결정하는데 우리금융의 자본금 증액 등 노력을 통해 요건을 일부 충족했다고 판단할 경우 인수를 허가할 수 있기 때문이다.
금융권 안팎에서 금융위가 '조건부 허가'를 내줄 가능성이 있다는 전망이 나오는 것도 이 때문이다.
금감원은 "조속한 시일 내에 심사의견을 금융위에 보고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노정동 한경닷컴 기자 dong2@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