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남 한복판 현대차 GBC 내 '축구장 두 배' 도심 숲 조성
입력
수정
지면A25
서울시와 이달부터 인허가 협의
서울 상징 은행나무 군락 심어

19일 현대차그룹이 지난달 서울시에 제출한 GBC 개발계획 제안서에 따르면 GBC는 242m 높이의 54층 타워 3개 동과 저층부 2개 동으로 구성된다. 녹지 공간은 GBC 단지 중앙에 들어서며 시민에게 개방된다. 건물에 딸린 형태로 존재하는 녹지공간과 달리 디자인 단계부터 녹지 공간을 고려해 건물을 배치했다.
녹지는 2개 축구장 크기(1만4000㎡)로, 국내 민간 개발 복합단지 녹지 중 가장 크다. 도심 숲 형태로 조성되며 서울을 상징하는 은행나무가 군락으로 수종된다. 강남권 광역복합환승센터(GITC) 지상광장(1만3780㎡)과도 가까워 이를 합하면 강남 도심권에 서울광장(1만3207㎡) 두 배 규모의 시민 공유 공간이 탄생한다.
타워동은 시각적 개방감 확보를 위해 3개 동이 서로 엇갈린 형태로 단지 후면에 들어선다. 신재생에너지 등 친환경 기술과 자율주행, 로보틱스, 도심항공모빌리티(UAM) 등 미래 기술이 적용된다. 빅데이터와 클라우드 컴퓨팅, 인공지능(AI), 사물인터넷(IoT) 기술로 업무 효율성 개선과 에너지 절감도 꾀한다.
업무시설 외에 한강·잠실·봉은사·선정릉 등 강남 주요 명소를 한눈에 조망할 수 있는 전망대도 설치된다. 럭셔리 호텔과 오피스텔 등이 타워동에 입주하고, 저층부 2개 동은 전시장, 공연장 등 복합문화공간으로 활용된다.
GBC 디자인은 건축계의 노벨상으로 불리는 프리츠커상 수상자 노먼 포스터가 맡았다. 영국에 있는 블룸버그 유럽 본사와 미국 뉴욕 맨해튼 일대를 재개발한 50허드슨야드 등을 담당한 건축가다.
현대차그룹은 이달부터 서울시와 공공기여금 등 인허가 협의에 들어간다. GBC 조성 사업이 본격화하면 내수 경기 침체와 건설 경기 부진 등에 처한 국내 경제의 활력을 제고하는 데 기여할 전망이다. 현대차그룹 관계자는 “GBC 프로젝트가 성공적으로 추진될 수 있도록 서울시와 긴밀히 협의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김보형 기자 kph21c@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