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기자가 쓴 포토에세이 '당신이 뉴욕에 산다면 멋질 거예요’

경향신문 김창길 사진기자가 인문 에세이집 '당신이 뉴욕에 산다면 멋질 거예요'를 출간했다.

“당신이 뉴욕에 산다면 멋질 거예요!” 미국 사진작가 윌리엄 클라인은 1956년 자신의 사진집 『뉴욕』에 그렇게 적었다. 하지만 사진집을 열어보면 전혀 다른 장면들이 펼쳐진다. 이 책의 표지에 실린 에드워드 호퍼의 그림처럼 고독한 풍경은 아니다. 시궁창에 처넣고 싶은 구깃구깃한 사진들이다. 그의 사진집을 본 뉴요커들은 “이건 뉴욕이 아냐, 쓰레기야”라고 이구동성으로 비난했다. 하지만 파리지앵은 그의 사진에 매료되었다. 도대체 사진이 뭐길래 사진에 대한 반응이 이렇게 극명하게 차이가 날까?

사진은 시간을 멈추게 하는 마법이 있다. 우리는 사진을 통해 시간의 흐름을 초월해 과거의 순간들을 다시 경험할 수 있다. 그 과거의 순간에는 삶의 풍경들이 오롯이 담겨 있어 우리는 지나간 추억과 만날 수 있다.

앙리 카르티에 브레송은 “사진은 순간을 영원히 기억하게 해준다”고 말했다. 사진은 지나가는 순간을 영구적으로 기록한다. 도로시아 랭은 “사진은 내가 말할 수 없는 것을 말해준다”고 말했다. 즉, 사진은 언어의 한계를 넘어선다.

이 책은 세계적으로 이름이 난 사진작가 윌리엄 클라인, 박노해 주명덕, 강운구 등 18명에 대한 오마주를 담은 책이다.

독자들은 사진작가 18명의 사진들을 통해 삶의 풍경을 관통하는, 기억과 마음을 응시하는 인문학적 에세이의 정수를 만날 수 있다.